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红楼梦』的数字化与翻译研究

A study on digitalization and translation of 『Hong-lou-meng(紅樓夢)』

  • 32
커버이미지 없음

디지털화된 『홍루몽』텍스트는 많은 오류를 감소시키고, 연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저본의 문자와 관련된 문제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는다면 디지털화의 작용을 삭감시킬수도 있다. 이밖에도 어떤 연구에 있어서는 디지털화된 텍스트는 잠시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홍루몽』판본 가운데 “宁”의 쓰임은 판본에 따라 피휘를 한 경우도 있고, 피휘를 적용시키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는 곧 『홍루몽』판본 연구의 피휘자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러한 피휘자 문제는 『홍루몽』의 형성 년대와 관련이 있다. 디지털화된 텍스트는 종종 문자를 규범화시켜, 원래 저본의 문자를 필획을 감소시켜 구체적 상황을 드러내지 않게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피휘자 문제를 연구할 때는 저본을 반드시 참조해야한다. 또 『홍루몽』批语에 대한 디지털화를 진행해야한다. 또한 『홍루몽』의 디지털화는 번역 연구에 중대 작용을 한다.

1. 引言

2. 『红楼梦』文本的数字化

3. 红楼梦批语的数字化

4. 『红楼梦』的数字化对翻译研究的作用

5. 结语

〈參考文獻〉

〈論文提要〉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