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從小說到電影(Ⅰ)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ovel & film The Elegy of Eternal Regret(Chang Hen Ge)

  • 58
커버이미지 없음

중국에서 1920년대 이래로 소설을 영화의 저본으로 각색하기 시작하면서 원작에 대한 충실성 여부나 정도를 둘러싼 논의가 부단히 전개되었다. 이 논문은 1995년 발표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던 대륙 작가 왕안이(王安憶)의 소설 《장한가(长恨歌)》와, 그 뒤 10년 후 홍콩 감독 꽌진펑(关锦鵬)이 이 작품을 각색해 만든 영화 《장한가(长恨歌)》를 대상으로 삼아 서로 비교함으로써 각색 과정상에 드러난 몇 가지 특징을 파악해내고, 그 의미를 평가했다. 왕안이의 원작은 상하이 골목의 평범한 소녀 왕치야오(王琦瑶)의 40년 인생의 굴곡을 상하이라는 대도시 문화 속에서 직조해내면서 궁극적으로는 이 번화한 도시와 그 도시의 여성의 운명과의 관계를 그려내고자 했다. 이에 비해 꽌진펑의 영화는 여주인공 왕치야오가 만난 남성들과의 애정 비극에 초점을 두고, 주로 그들 사이의 관계에 치중했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는 원작이 추구하고자 하는 대도시 상하이와 그 속에 사는 여주인공의 운명 관계의 드러냄 보다는 한 여인의 운명사라는 대중적 주제로 나아갔다. 작가와 감독의 이러한 주제 설정의 차이는 이야기 구조의 전개, 서사 각도와 시점, 주요 인물이나 주위 인물의 부각 또는 생략 ․ 병합 처리 등 여러 측면에서 함께 진행되었다. 총체적으로 평가할 때, 꽌진펑의 영화 《장한가(长恨歌)》는 원작과는 다른 감독 자신의 관점과 해석이 드러나는데, 이 영화 자체에 대한 평가는 평자마다 다를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원작을 바탕으로 각색한, 원작에 대한 감독의 해석이라는 측면에서 이를 평가할 때 이 영화는 원작이 지닌 시대사적, 사회사적 의미를 충분히 담아내지 못한 역부족의 작품으로 평가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하고 세밀한 묘사가 가능한 문자 텍스트와 달리 시공간 처리에 일정한 한계가 있는 영화 매체라는 점에서 장편소설인 원작의 전체 내용을 충분히 담아내는 데는 각색 과정상의 한계가 있기 마련이겠지만, 꽌진펑의 영화 《장한가(长恨歌)》의 풍격이 원작과 크게 달라진 가장 중요한 원인은 이러한 매체의 본질적 성격에 있기 보다는 결국 감독의 원작에 대한 이해ㆍ해석에 따른 관점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파악하고자 한다.

一、 緖論

二、 創造榮譽的城市和它的女人的命運 : 王安憶小說《長恨歌》

三、 淡化都市和社會, 突出个人的命運 : 關錦鵬電影《長恨歌》

四、 小說《長恨歌》与電影《長恨歌》之異同比較

五、 結語

〈參考文獻〉

〈국문제요〉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