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사가문화(史家文化)는 역사가들의 심미적 가치관과 수사적 작풍에서 집중적으로 재현된다. 이것이 중국고대통속소설에 끼친 영향은 주로 창작 제재의 선택 분야로서 소설가들이 제재를 선택하는 심미적 관점이 사가들의 그것에 의지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사가들의 사실에 대한 추구, 선악포폄(善惡褒貶)의 수사 작풍이 소설가들의 창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이다. 그리하여 중국고대통속의 사실적 기술 전통 및 소설로써 역사의 기록을 보완하는 그 기능에 대한 관점이 생겨났다. 고대통속소설의 제재 선택이 역사적인 사건과 인물에 대한 기록(歷史列傳)들을 부연하고 확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나아가 사가문화는 역사가들의 숭고한 사회-문화적 지위를 강조하기 위해 고대통속소설가들을 폄하하며 “괴이한 힘과 어지러운 신령들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不語怪、力、亂、神)”의 원칙을 고수하였다. 그러나 평민 세계와 귀신, 신선의 제재를 접한 소설가들은 곧 과장된 지괴화의 경향을 보이게 된다.
一、古代通俗小說主要題材選取傾向
二、史家的審美觀與修史作風
三、史書與古代小說的淵源關係
四、史家審美觀與通俗小說題材選取
〈국문요약〉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