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二拍’의 商賈小說 연구

A Study of the Merchant Novel in Er Pai with a Focus on “Zhuanyunhan qiaoyu Dong tinghong, Bosihu zhipo Guilongke.”

  • 111
122484.jpg

明代 擬話本小說을 대표하는 ‘三言’과 ‘二拍’은 모두 상인과 상업 활동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며 상인이 주인공이며 상인의 가치관과 문화 등을 반영한 상고소설을 적지 않게 수록 하고 있다. 宋元代와 명대 초기의 경제상황을 반영한 ‘삼언’의 경우 소상인을 다룬 경우가 많았지만, ‘이박’은 명대 중후기의 巨富巨商 중심의 상업경제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부자가 되는 과정과 당시 번영했던 해상교역을 묘사하고 있는 작품이 많다. ‘이박’에 등장하는 상인형상은 ‘삼언’에 비해 상업 활동 현장에서 활동하는 모습이 많고 서사의 갈등과 주요 사건이 모두 상업 활동과 관련되어 있는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 拍案驚奇 》&nbsp;권1에 수록된 <轉運漢巧遇洞庭紅, 波斯胡指破龜龍殼>을 통해 ‘이박’의 상고소설이 갖는 주요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Representative Nihuaben stories in Ming Dynasty as San Yan and Er Pai showed a high interest about Merchant and commercial activities. There were not a little Merchant Novels reflecting Values and culture of the merchant for main character of the age. San Yan reflecting the economic situation from Song-Yuan dynasties to early Ming dynasty, mainly refered to small traders. Er Pai described commercial economy for wealthy merchant in the middle and late Ming dynasty on the other hand. Many stories at the age, therefore, described prosperous sea-borne trade and process to become rich. Merchant shape appeared in Er Pai had more activities on commercial fields rather than in the story San Yan and it had Epic of conflict and main event which were related to commercial activities. This study considered main features in Appeal novel as Er Pai through <Zhuanyunhan Qiaoyu Dongtinghu> included in Volume1 of Pai’anjingji .

1. 들어가는 말

2. ‘二拍’에 수록된 商賈小說

3. <轉運漢巧遇洞庭紅, 波斯胡指破龜龍殼>의 상고소설로서의 특징

1) 義利兼重의 巨商

2) 상업활동 중심의 서사 진행

3) 상업경영 기술과 해상교역 상황의 반영

4.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