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창업자의 창업동기에 따른 창업지원서비스의 중 요도-만족도(IPA)분석: 청년창업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IPA Analysis of Start-ups by Government Policy: The focus of Youth Start-ups
- 한국경영교육학회
- 경영교육연구
- 경영교육연구 제29권5호(통권87집)
-
2014.1099 - 116 (18 pages)
- 366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동기와 창업지원서비스에 대한 주요 속성과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속성을 비교 분석하는 중요도-만족도분석(IPA)기법을 활용하여 청년 창업자들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증 분 석을 하였다. 창업지원서비스의 주요항목은 시설 및 장비지원, 인적관리지원, 마케팅 지원, 재무·회계지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창업동기는 필요형 창업과 기회형 창업으로 구분하였다. 창업 동기에 따른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 전체집단의 IPA 분석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필요형 창업은 정책자금, 재무회계지원, 조세관련 지원 등이 제 1사분면(지속적 유지)와 제 2사분면 (집중관리)에 나타났지만, 기회형 창업은 재무/회계지원, 조세관련지원 등은 제 4사분면(과잉 노력 지양)에 위치하였다. 이는 필요형 창업은 기회형 창업에 비해 상대적인 창업 준비기간의 한계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창업을 시작하게 됨에 따라 자원의 부족으로 재무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관된 창업지원서비스의 비효율적인 지원의 한계와 청년창업자들의 특성에 따라 보다 세분화된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key factors and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support services and motives for youth start-ups. To do this, each factor is compared and contrasted by entrepreneurship motive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he key factors of entrepreneurship support consist of facility and equipment, human management, marketing and finance/accounting services. Motive of entrepreneurship classifies as necessary entrepreneurship or opportunistic entrepreneurship.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sult turns out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motive of entrepreneurship. Necessary entrepreneurship shows finance/accounting support, policy asset, tax support in first quadrant (continuous maintenance) and second quadrant (focus management) while opportunistic entrepreneurship shows them in forth quadrant. This result implies that necessary entrepreneurship would require more financial support than opportunistic entrepreneurship since the preparation period is relatively short and the motivation i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is means that government support service to youth start-ups has been inefficient and should be differentiate by their motives. The empirical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an effective policy direction for government entrepreneurship support service of youth start-ups.
Ⅰ.서 론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방법
IV.실증분석
Ⅴ.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