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낮잠시간 영유아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Level on th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at the Nap time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3권 2호
- : KCI등재
- 2014.06
- 5 - 30 (26 pages)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 낮잠시간에 이루어지는 영유아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을 살펴봄으로 낮잠시간의 교육적 운영과 영유아 권리증진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명의 유아교사에게 면담을 실시하고 그 내용은 모두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수집자료는 유해미 등(2011)이 제시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유아 권리 영역별 평가 항목 중 참여권 내용 토대로 범주화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낮잠시간 영유아의 자발적 참여와 개별 요구를 존중하고 수용한다는 인식이 나타났다. 반면 영유아들의 개별적 요구를 수용할 경우 다수 영유아가 낮잠에 방해받을 수 있다는 인식하에 일률적으로 영유아들이 낮잠을 자도록 지도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낮잠시간이 영유아에게 즐겁게 참여하는 시간이기 보다 일과 내 반복되는 일상이며 그다지 즐거움을 주지 못하는 시간이라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낮잠시간에 낮잠 자기 원하지 않거나 일찍 잠에서 깨는 영유아들의 반응과 요구를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유아들이 낮잠을 더 원하는 경우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낮잠시간 동안 영유아에 대한 지속적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지만 교사의 휴식과 업무를 위한 시간이 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for the educational management of nap time and th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at nap time by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level. For this, it proceeded an interview with 5 teacher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entirely recorded and transcription. The collected data had a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eachers had the recognition of respecting and accepting children'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dividual requests on nap time. On the other hand, they uniformly led children to have a nap under the awareness that many children may be disturbed when individual requests of children are all accepted. Second, teachers realized that nap time is a just a repetitive daily work rather than children participating eagerly and could enjoy. Third, it was appeared that teachers accept the reactions and requests of children who woke up early or do not want to take a nap during nap time whereas they could not accept when children want to take longer nap. Fourth, teachers have a consistent interest in children during nap time, however, it also becomes a time for them to rest and work.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