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의 진단 능력: 시야결손 전 녹내장과 큰 시신경유두함몰군 간 비교

Diagnostic Ability of Spectral Domain OCT: Comparision between Preperimetric Glaucoma and Large Physiologic Cupping

  • 15
122615.jpg

목적: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지표의 시야결손 전 녹내장 진단 능력을 평가하고자 실제 임상환경을 고려하여 큰 생리적 시신경유두함몰이 있는 정상인을 함께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시야결손 전 녹내장 환자 47안, 큰 생리적 시신경유두함몰이 있는 정상인 66안, 큰 시신경유두함몰이 없는 정상인 55안을 대상으로 SD-OCT 지표를 비교하였다. 시야결손 전 녹내장은 표준자동시야검사에서 정상을 보이나 수직 시신경유두비의 비대칭,테 얇아짐, 패임, 함몰, 망막신경섬유층 손상 등의 녹내장성 시신경 변화를 보이는 초기녹내장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큰 시신경유두함몰이 없는 정상인과 비교하였을 때 시신경유두 지표 중 가장 우수한 수직 시신경유두함몰비(0.89)가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지표 중 가장 우수한 하측 RNFL 지표(0.72)와 ganglion cell inner plexiform layer (GCIPL) 지표 중 가장 우수한 상이측, 하이측 GCIPL 지표(0.70)보다 통계적으로 우수한 진단 능력을 보였다(p=0.005, 0.002). 큰 생리적 시신경유두함몰이 있는 정상인과 비교하였을 때 시신경유두 지표 중에서는 평균 시신경유두함몰비(0.70), RNFL 지표 중에서는 하측 RNFL 두께(0.72), GCIPL 지표 중에서는 하측 GCIPL (0.67)이 가장 우수하였고, 세 지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으며(p>0.05) 앞의 경우보다 판별능력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결론: 큰 생리적 시신경유두함몰이 있는 정상인으로부터 SD-OCT의 시야결손 전 녹내장 진단 능력은 시신경유두, RNFL, GCIPL 지표 모두 비슷하였고 큰 시신경유두함몰이 없는 정상인과 비교하였을 때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진단 능력을 보인다.

Purpose: To assess the distinction ability for differentiating glaucoma patients based on optic disc, retinal nerve fiber layer(RNFL) and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GCIPL) measured using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Additionally, the diagnostic ability of these parameters was evaluated by comparing preperimetic glaucoma patients who frequently visited the clinic and normal patients with and without a large physiologic cup/disc (C/D) ratio. Methods: Using SD-OCT, the optic disc, RNFL and GCIPL of preperimetic glaucoma patients were compared with normal people with and without a large C/D ratio from March, 2011 to December, 2014 at Department of Ophthalm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Preperimetic glaucoma was defined using the normal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for glaucomatous optic nerve changes such as asymmetry of vertical C/D ratio, rim thinning, notching, excavation and RNFL defect. Results: When comparing preperimetic glaucoma patients to normal people without large disc cupping, the most reliable parameter for optic disc parameters, vertical C/D ratio (0.89), showed more reliable diagnostic ability than the most reliable parameter for retinal nerve fiber, inferior RNFL thickness (0.79) and superonasal and inferonasal GCIPL thickness were the most reliable GCIPL parameters (p = 0.005 and 0.002, respectively). When comparing preperimetic glaucoma patients to normal people having a large physiologic disc cupping, average C/D ratio among optic nerve parameters, inferior RNFL thickness among RNFL thickness parameters and inferior GCIPL thickness among GCIPL parameters showed highly reliable diagnostic abilities. These 3 parameter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ll p > 0.05) and had lower distinction ability tha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Conclusions: Diagnostic abilities of SD-OCT for distinguishing preperimetric glaucoma from normal people having large physiologic disc cupping were similar for optic disc, RNFL and GCIPL and showed low diagnostic ability than compared to normal people without large disc cupping.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