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애 전체에 걸쳐 학대와 폭력을 경험한 한 여성노인의 삶을 한국사회의 정치·역사·문화적 맥락과 연결하여 살펴보고 노인학대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로젠탈(Rosenthal)의 내러티브 분석방법을 양영자(2013)가 정리한 방법에 따라서 분석하여 수행 하였다. 이야기된 생애사와 체험된 생애사를 분리하여 구성하였으며, 텍스트 분석과 연속적 주제적 영역분석 단계를 통하여 현재의 관점에서 서술된 과거의 생애사적 이야기의 발생기원과 그 과정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한 여성 노인 개인이 생애 전 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차원의 학대와 착취가 개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국가 공권력의 남용과 침묵 방치 등의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어 논의되어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노인과 여성 등의 사회적 약자에 대해 개인적·지 역사회적·국가적 차원에서 자행(恣行)된 폭력과 관련 된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at the life of an elderly woman who experienced lifetime abuse and violence through politic, history, and cultural contexts of Korea society, and to discuss the improvement plans of elder abuse. Research method was performed by Rosenthal’s narrative analysis which was suggested by Yang Young Ja(2013). A life as told and a life as experienced were separately constructed, and origin and process of past lifetime history, but described in the present point of view, were analyzed through text analysis and thematic areas analysis. As revealed by the study results, various types of abuse and exploitation which an elderly woman had experienced through all her lifetime have to be discussed not only in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in the societal dimension, such as misuse and neglect of government authority to maintain systems. The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practice were suggested in relation to violence used against the disadvantaged such as the elderly and women in the levels of individual, community, social, and national.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