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반송리식 주거지의 비판적 검토를 통해서 송국리유형의 형성과 관련된 문제를 규명하고 아울러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중기 취락 편년을 재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학사적 검토를 통해 이른바 선송국리유형의 설정 논리를 반박하고 역삼동유형의 토기 변화를 토대로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중기를 전반 (기원전 10 ~ 9 세기) , 중반 (기원전 8 ~ 7 세기) , 후반 (기원전 7 ~ 6 세기) 등 3 시기로 세분하였다. 이 가운데 경기 남부 지역에 송국리유형의 주거지가 출현하는 시점은 중기 전반의 늦은 시기에 해당되는 기원전 9 세기 후반~ 8 세기 초 무렵으로 파악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송국리유형의 출현 시 점을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중기의 시작으로 보았는데, 이는 경기 남부 지역에서 관찰되는 송국리유형을 소위 선송국리유형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소위 선송국리유형으로 파악된 반송리식 주거지에 대해서 검토하 였는데, 반송리식 주거지의 성격 파악이 중부지방 중기 편년의 오류를 바로 잡는 단서가 되기 때문이다. 반송리식 주거지의 분포와 형성 과정, 그리고 출토 유물을 살펴본 결과, 이러한 주거 형식은 역삼동유형 주거지에서 변화 된, 소위 선송국리유형이기 보다는 금강 중하류에서 발생한 송국리유형이 주변 지역으로 확산된 결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periodization on settlement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untry in the mid - bronze age and consider the issue related to formation of Songguk - ni type settlement by critically reviewing Bansong - ni type settlement . To do this I first contradicted the reasoning to set up so called pre - Songguk - ni type by considering previous scholarly achievements on it and subdivided the mid - bronze age of the central region into three periods based on changes of Yeoksam - dong type pottery : early period ( 10th - 9th century B . C .) , middle period ( 8th - 7th century B . C .) , late period ( 7th - 6th century B . C .) . I have found out Songguk - ni type settlement started in the south part of the country about from the late 9th century to the early 8th century B . C ., which was the middle part of the middle period . In the former studies they considered the point of emergence of Songguk - ni type to be the beginning of the mid - bronze age of the central region because they understood Songuk - ni type observed in the south region as pre - Songguk - ni type . I , therefore , examined Bangong - ni type settlement ,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pre - Songguk - ni type . This is because I believe if you understand correctly characteristics of Bangong - ni type settlement , you can correct mistakes in periodization of the middle period in the central region . I found out have considered the dispersion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Bansong - ni type settlement , and artifacts from it . I have considered the dispersion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Bansong - ni type settlement , and artifacts from it . As a result I have found out that this type of settlement was formed from spreading of not so - called pre - Songguk - ni type but Songguk - ni type ,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middle and lower Geum river . It took a half or a century that Songguk - ni type settlement , which started in the middle and lower Geum river in about the 10th century B . C , spread to the south part of Gyeonggi province . Accordingly I have understood the mid - bronze age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untry began in the 10th century B . C . at latest .
Ⅰ. 머리말
Ⅱ.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중기 편년 연구의 제 문제
Ⅲ.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취락 편년
1 . 편년 방법과 분기론
2 . 유물복합체의 상대 서열과 중기 세분
Ⅳ. 반송리식 주거지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Ⅴ.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