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조선시대 분묘 內 매납 자기에 대한 一考

A Study on the Ceramics comprised in sets of Grave Goods Excavated in the Boundaries of a Communal Grave within Hanyang in Joseon Dynasty

  • 365
122832.jpg

본 논문은 최근까지 조사된 조선시대 분묘유적 중 한양 공동묘역에서 출토된 한 벌의 자기 부장품의 매납 양상과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규명을 시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한양의 공동묘역인 서교와 동교의 위치가 현재 진관동을 중심으로 한 은평구 일대, 광진구-중랑구-노원구 일대인 것으로 추정하여 이들 지역에서 발굴조사된 5,228기의 분묘 중 128기에서 출토된 한 벌의 자기 부장품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총 119건의 부장품 조합을 살펴본 결과 백색이 갖는 의미가 부장품에 적용되어 높은 백자의 매납 비율을 보였으며, ‘발·종자·접시·호·청동시(+저)’의 구성 안에서 개별적인 부장품의 조합이 선별되었고, 그중 ‘발+청동시’의 조합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 벌의 자기 부장품의 구성과 용례에 집중하여「세종실록 」 「 오례의 」 흉례 명기조의 기명 조합, 김장생의 제기도, 명대 분묘 출토품과의 비교를 진행했고, 그 결과 한양 공동 묘역에서 출토된 한 벌의 자기 부장품은 당시 국가적인 예제의 지침에 부합하는 기종에 해당하고, 중국의 제기 기물의 용례와 연관지어 음식, 다례용 제기로 사용된 이후 한 벌의 부장품으로 성격을 변환시켜 매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burial aspects and feature of sets of Grave Goods, with the recently excavated relics of the boundaries of a communal grave within Hanyang City in Joseon Dynasty. For that purpose, the relics were presumed Eunpyeong-gu including Jingwan-dong as a western suburb(西郊), Gwangjin-gu, Jungnang-gu and Nowon-gu as the eastern edge(東郊), in which were further examined closely sets of Grave Goods including ceramics excavated 128 graves from among whole 5228 graves.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whole 119 sets of Grave Goods including ceramics, white porcelain took possession of most proportion with implication as white color, each compositions were made a selection from the combine of bowl, a small dish, plate, jar and bronze spoon, among which the combine of bowl and bronze spoon comprised the most proportion. The further study, focusing on the composition and usage of sets of Grave Goods including ceramics, compared objects in Five Rituals of Sejong chronicles(世宗實 錄 五禮儀), Kim Changsaeng(金長生)’s book depicting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articles excavated from graves in Ming Dynasty, which they were types suited to national guideline, converted tableware for table use and the tea ceremony to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being committed to the earth, sets of Grave Goods including ceramics excavated in the boundaries of a communal grave within Hanyang City.

Ⅰ. 머리말

Ⅱ. 한양의 공동묘역 동교(東郊)·서교(西郊)

Ⅲ. 한양의 공동묘역 내 출토 매납 자기

1. 단독 자기

2. 자기+청동기물 3. 자기+기타

Ⅳ. 매납 자기의 조합양상과 한 벌의 부장품

1.「世宗實錄」 「五禮儀」와「家禮輯覽 」

2. 명대 분묘 출토 매납 자기의 일례-扶余 明墓

Ⅴ.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