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2833.jpg
KCI등재 학술저널

얀세의 「인도차이나 고고 조사」에 관한 歷史的 검토

A Historical Study on the Materials of Olov. Janse, Archaeological Research in Indo-china.

  • 49

본고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의 베트남에 있어서 스웨덴의 고고학자인 올로브 얀세(Olov R. T. Jans e :1892~1985)에 의해 1930년대에 발굴되어 현재 베트남 국내외에 소장되어 있는「인도차이나 고고조사 」자료에 관한 학사적 검토이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의 베트남에 있어서 얀세의 조사연구는 「동양고고학 」이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배경에는 프랑스의 동양 학/동양학적 고고학의 지식과 더불어 유럽과 미국에 동양컬렉션의 축적이 있었고, 더욱이 자연 과학적・인류학적인 「고고학 」의 방법론이나 조사기술 등의 「규범 」도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에서 제2차 세계대전 후의 국민국가(민족국가) 베트남의 성립에 걸쳐 있는 얀세자료를 둘러싼 역사적・사회적인 자리매김도 크게 변화되었지만 남아있는 자료는 여전히 방대하다.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재의 베트남에 있어서 이것들을 얼마나 복원해 활용해 나가는가가 차후의 커다란 과제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historical study on the materials of the Archaeological Research in Indo-china, which was conducted by a Swedish archaeologist, Olov R. T. Janse (1892~1985) 1930s in French Indo-china period in Viet Nam. His researches could be estimated the earliest practice on the Far Eastern Archaeology/East Asian Archaeology in this field. Such activities were founded by knowledge from French school of Orientalism/Oriental Archaeology and accumulations of the Eastern collections in Europe. And that was also introduced by the models of methods and techniques from Scientific/Anthropological archaeology. During the French Indochina period and the independent nation state of Viet Nam after World War II, historical and social positions around the materials, Olov Janse collections were changed, but huge amount of the materials were left. Our tasks are how can we restore and use the materials for the future.

Ⅰ. 머리말

Ⅱ. 베트남왕조의 세계관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동양학

Ⅲ. 얀세와 동양고고학

1. 얀세 제1차 조사

2. 얀세 제2차 조사

3. 하버드 옌칭연구소

4. 얀세 제3차 조사

5. 태평양전쟁 중

6. 「인도차이나」의 변용

7. 얀세 컬렉션의 망각

Ⅳ. 얀세와 「인도차이나 고고조사」의 상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