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2837.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에서 토괴의 기능과 의미

Function and Meaning of Clay Clodused in Embankment Structures in Ancient Korea

  • 318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로는 고분·토성·제방·대형 건물 등이 있다. 최근 이들 유적의 발굴조사 과정에서 덩어리 형태의 흙, 즉 토괴를 성토재로 사용한 경우가 다수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토괴는 그간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었으며 주로 구획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용어의 혼용으로 토괴의 명확한 개념 정리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토괴의 사용 양상에 대한 관행적 해석이 반복됨에 따라 토괴 사용이 갖는 기능과 의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혀 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먼저 토괴의 개념정리 후 토괴 사용이 알려진 유적 27개소를 대상으로 삼아 검토 하였다. 그 결과 고분·성곽·제방·대형 건물 등 성토구조물이라 볼 수 있는 모든 유구의 축조에서 토괴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현대공법과 유적 검토 결과를 참고하여 토괴의 구분 기준을 제시하고, 분류를 시도하였으며, 사용방법과 기능을 제시하였다. 토괴의 사용방법은 유적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구의 성격뿐 아니라 사용된 토괴의 종류 또한 채토환경의 영향을 받고 종류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얻고자 선택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외 유적 사례 검토를 통해 중국, 일본, 넓게는서~중앙아시아에서도 토괴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하게 되면서 토괴를 사용한 축조기술은 특정지역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광 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렇듯 기후조건이 달랐음에도 토괴가 널리 쓰인 이유는 토괴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얻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근거를 통해 성토구조물의 축조에서 토괴의 사용이 갖는 의미를 단순한 운반의 편의성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주요 성토기법을 보조하는 하나의 보조공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orea’s ancient Embankment structures are assemblages a complex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is results of reflected in national power. Embankment structures include burial mounds, earthen fortifications, embankments and large buildings. In recent excavations involving these structures, there are many cases that have been discovered to have used lump shaped soil, as known as clay clod, and such cases are drawing attention. Clay clods have been named in many different terms and have been thought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dividing sections. But with the mixed use of different terms,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clay clod was not made and as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n the aspects of usage of clay clods were made continuously,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that the use of soil clods holds were not specifically identified. This paper firstly clarifies the concept of clay clod and examines 27 sites that have been known to have used clay clods. As a result of examination, it was revealed that every features that can be identified as mound structures such as burial mounds· fortifications · embankments · large buildings and etc have used clay clods. Nextly, by referring to modern building techniques and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sites, this paper renders a criteria to classify soil clods, classifies the soil clods and renders the methods of use and meanings of soil clods. It was found out that the usage of clay clods differs by the character of a site. The type of clay clod that is used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character of the feature, but also by the condition of the soil collecting,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each types were collectively used to obtain diverse functions. Meanwhile, by examining sites overseas, the paper found out that soil clods were used in China, Japan and also in West~Central Asia and reveals that mounding technique involving the use of soil clods is not something that is limited to a specific region but a widespread technique in many different regions used over time. clay clodwould have been broadly used, despite the climate difference, in order to obtain different functions from it. In this reason, the meaning of the usage of clay clods in the construction of Embankment structures should be understood not just as simplifying the transport of soil, but as an auxiliary construction technique that assists the main mounding technique.

Ⅰ. 머리말

Ⅱ. 토괴의 분류

1. 토낭 2. 블록 3. 브릭

Ⅲ. 토괴 사용 유적 검토

1. 고분 2. 토성 3. 제방 4. 기타

Ⅳ. 토괴의 기능과 기술사적 의미

1. 기능 2. 기술사적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