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2822.jpg
KCI등재 학술저널

防禦施設로서 竪穴에 대한 再認識

A new understanding of ‘Suhyeol(竪穴)’ as a defense establishment

  • 391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수혈은 ‘수혈유구’, ‘구덩이’, ‘수혈구덩이’, ‘저장공’, ‘저장혈’, ‘토실’ 등의 다양한 용어로 불리우는 유구이다. 수혈유구는 형태적인 특징만을 용어로 채택하기도 하고, 또는 기능을 추가하여 저장구덩이, 저장혈, 저장공이라는 명칭을 부여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토실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도 한다. 이제까지 수혈에 대한 많은 조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이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본격적으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나아가 그 성격과 기능에 대하여 언급되지 못하였다. 단일한 유구에 대하여 기능적인 측면을 비롯하여 통일된 시각을 보여주지 못함은 유구의 단순함에서 오는 고고학적인 증거의 불충분 때문이다. 수혈유구는 일정한 지역과 한정된 시기에 존재하는 유구가 아니라 청동기시대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폭넓은 시기에 존재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유구에 대하여 편협된 시각이 아니라 통시적으로 바라본다면 좀 더 유구에 대한 명확한 성격이 파악되리라 여겨진다. 이에 최근 필자는 수혈이 방어시설로서 이용되다가 서서히 환호나 토성, 그리고 석성의 형태로 구체적이고 견고한 방어의 형태로 그 기능이 대체되어 감을 설명하였다. 이는 수혈유구가 원시 및 초기 관방시설로서 기능하였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고를 통하여 필자가 제시하였던 수혈의 방어기능을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Suhyeol' which I intended to deal with in this article is Yugu. It is called variously such as 'Scoop', Suhyeol-Scoop', 'Storage-place(貯藏孔)', 'Tosil(土室)', etc.. The word of 'Suhyeol' was adop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 shape, and adding the function, it can be named 'Storage-Scoop', Storage-place', and so on. Lately the word of 'Tosil' appeared. Until now, although a lot of investigation was surveyed, it was unsystematic and discussion about that was not properly made. And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it were not mentioned. The reason why unified view was not suggested including functional aspects, was due to the insufficient archeological evidence. 'Suhyeol'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namely, it exists from the Bronze Age to the Unified Shilla Age widely not regular area and limited age. If we view it diachronically not intolerantly, we will be able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Yugu(유구)' more clearly. So I recently explained that 'Suhyeol' was used as a defense establishment and by degrees its function was changed to concrete and strong defense style like Hwanho, Mud castle or Stone castle. It shows that in early and beginning age, 'Suhyeol' functioned as a defense establishment. Through this writing I will embody the Suhyeol's function of defense.

요약

I. 문제제기

II. 分布와 立地

III. 生活遺蹟으로의 檢討

IV. 방어시설로서의 이해

V. 문헌의 재검토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