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원삼국시대~백제시대 호서지방에서의 주거지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 지역의 주거지 변화를 살펴 본 것이다. II장에서는 호서지방을 금강수계를 중심으로 미호천유역, 갑천유역, 금강중유역, 서해안의 4개 지역권으로 구분하였다. III장에서는 주거지의 입지, 평면형태, 규모, 노지, 벽구시설, 기둥배치 등을 통하여 구조를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주거지를 크게 원형계, 방형계, 육각형계 주거지로 분류하고 세부속성에 따라 이를 다시 형식분류 하였다. 토기는 경질무문토기, 호형토기, 발형토기, 시루, 장란형토기를 대상으로 그 특정과 변화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주거지의 형식과 토기의 변화를 통하여 원삼국시대~백제시대 호서지방 주거지를 3기로 구분하였다. V장에서는 앞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호서지방 주거지의 변화과정을 삼펴보았다. 그 결과 3~5세기 호서지방 주거지는 평면형태에 있어서 방형계→원형계·육각형계→방형계로의 변화를 보인다. 노지형식은 무시설식→터널식·부뚜막식→무시설식·부뚜막식으로 바뀌어 간다. 노지 위치는 북·북서벽→남·남동벽·북·북동·동벽→ 중앙으로 변화한다. 주거지의 규모는 3세기대에는 비교적 소형이다가 4세기대기에는 중·대형, 소형화 되며, 5세기대에는 소형화가 추세가 지속된다.
This article shows the changing of dwellings through the data about the dwellings from the age of Wonsamguk to the age of Baeckjae. In chapter I divided Hoseo province into the four regions, centering on the water system of Keum-river, the region of Miho-stream, the region of Gap-stream, the region of middle Keum-river, the region of west-seashore. In chapter I analyzed the structures of the dwellings through the location, plane-shape, scale, stove, fireplace, disposition of pillar, etc,. In chapter I divided the dwelling place into the three types like a circle type, a square type, and a sexangle type, and agai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crete character. In earthen wares,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changing about hard plain coarse pottery, Jar, bowl pottery, earthen ware steamer and long body pottery. And through the change of dwellings and earthen wares I classified the dwellings from the age of Wonsamguk to the age of Baeckjae into the three periods. In chapter I looked into the change of the dwellings in this reg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As a result, in the plane shape, the dwelling place in Hoseo province from the 3rd century to the 5th century changed from a circle type to a circle, and sextanle type and at last to a square type. And the stove changed from the style of tunnel and kitchen range to the style of no equipment and kitchen range and the location of it changed from north, north-western wall to south, south-eastern wall and then to north, north-eastern, east wall at last to center. The scale of the dwellings was small m the 3rd century, but in the 4th century changed to the medium and large trend and in the 5th century the scale lasted miniaturization.
요약
I. 머리말
II. 주거지의 조사현황
III. 주거지의 구조 분석
IV. 주거지의 형식분류와 편년
V. 3~5세기 호서지방 주거지의 변화과정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