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식-학술정보
스마트팜 기술동향 및 전망
Trends and Prospects of Smart Farm Technology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전자통신동향분석
- 전자통신동향분석 통권 155호 2015년 10월
-
2015.101 - 10 (10 pages)
- 2,966

우리나라 농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팜 기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현재 스마트팜은 외산시스템 도입을 통해 선도농가를 중심으로 파프리카, 딸기, 토마토 등의 재배에 일부 적용되고 있고, 농림수산식품부는 시범사업을 통한 확산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실정은 스마트팜 주요 장비의 외산 의존에 따른 구조적 한계점(경제성 및 유지보수성 취약)에 봉착하고, 농가의 실질적 소득증가 기여도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고는 최근 국내외 스마트팜 기술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스마트팜 주요 장비의 국산화 및 표준화, 가공·유통·외식·관광·레저 등 2/3차 산업 및 기상·물환경 등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핵심사항으로 여겨진다.
Ⅰ. 배경 및 필요성
Ⅱ. 국내외 정책 및 시장동향
Ⅲ. 국내외 기술 및 표준화 동향
Ⅳ. 향후 발전방향
약어 정리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