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3052.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작기법과 문양을 통해 본 백제 금동신발의 편년

Chronology of Baekje's Gilt-bronze Shoes Compiled from the Perspective of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atterns

  • 422

본고는 백제 금동신발의 자료를 검토하여 제작기법과 문양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백제 금동신발의 편년을 제시하였다. 조금기법이란 단조로운 금속 표면을 장식하는 기법으로 백제 금동신발에는 線彫기법(점선조·축조)과 魚子文기법이 확인된다. 이와 같은 조금기법의 발달은 금동신발의 문양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데 단순한 투조판에서 점차 육각형문의 복잡 다양한 투조판으로 변화한다. 또한 시문된 문양에 있어 일정한 변화 패턴의 연속성이 관찰된다.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출토된 백제 금동신발은 제작기법과 문양의 변화를 바탕으로 크게 한성시기와 웅진시기로 구분된다. 한성시기의 백제 금동신발은 '凸' 자문 혹은 능형문의 투조판으로 단순하게 제작되다가 5세기 2/4분기에 이르러 조금기법이 좁목되어 용문 혹은 화염문 등로 변화한다. 이같은 조금기법은 더욱 발전하여 5세기 3/4분기로 판단되는 고창 봉덕리 1호분 4호석실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에서 최고의 절정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봉덕리 금동신발은 육각형문으로 구획된 투조판 내부에 용을 포함한 봉황.인면조신 등의 각종 사서로운 동물을 새로운 어자문기법 등으로 매우 사실적이면서도 입체감있게 시문하였다. 웅진시기로 들어서면 금동신발은 조금기법상의 급격한 변화가 관찰된다. 즉 한성시기에 사용되던 조금기법 중 단순한 점타조기법만을 사용하여 문양을 시문하며, 문양 또한 단조롭게 변모한다. 이는 금동신발은 물론 공반 출토되는 금동관에서도 확인된다. 이와 같은 금속기술의 갑작스런 변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고구려의 한성 함락(475년)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한 공인 집단의 와해 혹은 기술의 단절에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이후 백제의 금속공예는 대체로 6세기 무령왕대에 들어서면서 다시 회복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chronology of gilt-bronze shoes of Baekje Kingdom by examining the materials used in them and the changes in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atterns. Metal carving is used to decorate the otherwise monotonous surface of metal. It was confirmed that the line carving technique (dotted line and triangle carving) and ring-matting technique were used for making gilt-bronze shoes in Baekje Kingdom period. Development of the metal carving technique seemed to have been connected with the pattern of gilt-bronze shoes, gradually changing from using a simple openwork carving plate to a complicated one with hexagonal design. A continuity in a certain pattern of changes in carved design was also observ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atterns, Baekje's gilt-bronze shoes can be classified into those of Hansung and Ungjin periods. Gilt-bronze shoes during the Hansung period of Baekje were made in a simple way using openwork carving panels of convex (凸)- or diamond-shaped design. The 2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however, saw changes into dragon or flame design, thanks to grafting of the metal carving technique. This technique was further developed and shown to have culminated in the gilt-bronze shoes unearthed from the stone chamber No. 4 of the tomb No. 1 in Bongdeok-ri, Gochang, pre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the 3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Inside of the gilt-bronze shoes found in the Bongdeok-ri tomb was partitioned with hexagonally carved panels, and shapes of various auspicious animals including dragons, the Chinese phoenix or birds with human faces were carved with a new ring-matting technique in an extremely realistic and three-dimensional way. In the Ungjing period, drastic change was observed in the metal carving technique used in making the gilt-bronze shoes. That is, out of the line carving techniques used in Hansung period only dotted-line carving technique was used to make patterns, and patterns themselves became simplified. Similar changes were found also in the gilt-bronze crown found together with the shoes. Such drastic change in metal carving technology is believed to be the direct result of the fall of Hansung by Goguryeo Kingdom (475), which may have forced the collapse of the technician group and the technology itself as well. The metal crafts of Baekje Kingdom would see a revival approximately in the 6th century under the reign of King Muryeong.

Ⅰ. 머리말

Ⅱ. 금동신발의 자료검토

Ⅲ. 제작기법에 대한 검토

1. 결구방법

2. 조금기법과 문양

Ⅳ. 제작기법과 문양의 변화

1. 선행 연구자의 편년

2. 제작기법과 문양의 변화에 따른 편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