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반도 암각화의 기원을 찾아나가는 여정으로, 내몽고 적봉 지역과 한반도 암각화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기 위해, 요령성 지역과 산동성 지역에서 새로 조사한 암각화 유적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필자의 이전 논문에서 소개한 내몽고 적봉 일대의 암각화와 검파형 한국식 암각화의 기원 문제에 대하여, 입지조건과 신앙체계 및 발생론적 입장에서 좀 더 자세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한반도의 암각화들이 농경과 관련되어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입지조건의 비교와 함께 농경 관련 문양의 표현을 살피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국 동북지역 청동기 문화 중에서 정주성이 강한 주민이 남긴 것으로 알려진 하가점하층문화와 고조선의 문화로 알려진 비파형동검문화(능하문화)와의 관계에 보다 주목하였다. 한국 청동기문화의 전래 과정이 내몽고 지역에서 요서지역과 요동지역을 거쳐 한반도 북부와 남부에 이르는 루트라면, 중국 동북지역에서 발견된 이들 암각화를 통해 한국의 민족문화의 원류와 그 전래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요동반도와 밀접한 해양교류를 가졌던 산동 지역에도 관심을 기울였는데, 특히 산동성 바로 아래인 연운항 지역에서 고누판형 암각화와 별 모양 암각화 및 농경과 연관되는 암각화가 발견된 점이 주목된다.
This study is a journey to find out the origin of petroglyph in Korean Peninsula. For the purpose, newly found petroglyph sites in Liaoning and Shandong area was examined to reveal a connection between petroglyph in Korean Peninsula and Chifeng area of Inner Mongolia.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origin of petroglyph in Chifeng area in Inner Mongolia and hilt-shaped(劍把形) Korean style petroglyph as the present writer introduced in previous paper. Yet, this paper will proceed the research in a more detailed way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the location and religious system, and evolution theory perspective. It is also to compare the location and examine the pattern related to agriculture, paying close attention to Korean petroglyph’s usual relation to agri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will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Xiajiadian culture, which is the legacy of the inhabitants who has strong sedentariness among the cultural groups at the Northeast area of China in the Bronze Age, and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Linghe culture), which is known as the culture of Ko-Joseon. If the route of importation of bronze ware was from Inner Mongolia, Liaoshen and Liaodong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it is also possible to track down the origin of the Korean ethnic culture and its course of transfer through this newly found petroglyph. This paper also paid close attention to Shandong area, where had intimate maritime exchanges with Liaodong peninsula. Pong Hau K'i-shaped and star-shaped petroglyph, and other type of petroglyph related to agriculture which was found in Lianyunga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is area, since Lianyungang is located to the south of Shandong Province.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중국 요령성 지역의 암각화 탐색
Ⅲ. 한국과 중국 山東省 및 連雲港 지역의 고누판형 암각화
Ⅳ. 한국 암각화와 중국 동북지역의 검파형·동심원 암각화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