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3065.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 중서부 지역 신석기시대 토기 문화의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Neolithic Pottery between Northeastern China and Mid-western Korea

  • 1,024

본고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 빗살무늬토기 전통의 성립과정을 동북아시아 이른 시기 신석기문화의 광역적 흐름 속에서 이해하고자 작성되었다. 광역에 걸친 정보의 교환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고 이주, 전파 등 여러 형태로 이루어져 결국 각 지역에서 고고학적 기록으로 남게 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한반도 중서부와 중국 동북지역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 토기의 시문 기법, 문양배치, 기형 등 제 속성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한반도 중서부 빗살무늬토기 전통의 성립을 동북아시아 광역 차원의 정보 교환망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비교 검토를 통해 중서부 지역의 첨저 기형은 동아시아 이른 단계 첨,원저 토기 전통들의 공통성이 국지적으로 발현된 것이며, 빗살문 토기 성립기의 문양 시문 기법(압날)과 다단 배치, 문양 형태 등에 보이는 개성 역시 동북아시아 차원의 광역적 공통성과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는 것임을 논증하였다. 이처럼 중서부 토기의 성립은 광역적 공통성과 국지적 개성의 공존을 통해 설명하는 것이 기형, 문양 배치, 시문 기법 등 개별 속성 차원으로 파편화시켜 전파론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 고고학적으로 훨씬 설득력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ulmun(櫛文) pottery tradition in mid-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inter-regional information networks in northeast Asia. Inter-regional information exchanges result from various reasons and processes like migration, diffusion, exchange network systems etc. and leave many archaeological record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rmation process of Chulmun pottery tradition in mid-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comparison of pottery decoration technique, layout, vessel form etc. with northeast province of China. By comparison, it assumes that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pottery in Korean peninsula such as conical vessel form and decoration technique(stamp), and vertical division of decoration fields not only represent their own characteristics, but also share many aspects with Northeast Asian potteries in various ways. Inter-regional information exchanges play a great role beneath these phenomena. The concept of ‘Interaction sphere’ fits with these phenomena very well. This view has more explanation power than the simple diffusionistic view based on the comparisons of individual features such as pottery decoration technique, layout, vessel form respectively.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대상 지역 및 시기 구분

Ⅲ. 지역 간 비교

Ⅳ. 논의 : 한반도 중서부 지역 빗살무늬토기 전통 성립의 광역성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