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歷史編纂委員會의 설립과 북한 고조선 연구의 개시(1947~1950)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Beginning of Old Joseon Research in North Korea(1947~1950)
- 한국고대학회
- 선사와 고대
- 先史와 古代 45輯
-
2015.095 - 27 (23 pages)
- 166

본 연구는 조선력사편찬위원회의 기관지「력사제문제」에 수록된 고조선 관련 연구를 소개 검토한 것이다. 위원회는 조선역사의 편찬과 연구를 위해 설립되었는데, 1948년 7월부터 간행된 「력사제문제」는 그 기관지였다.「력사제문제」에는 1949년 홍기문에 이어 1950년 정세호 정현에 의해 고조선 관련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홍기문은 일제시기 일본인 역사학자의 조선사 타율성론을 비판하고자 낙랑군과 고조선의 위치를 새롭게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어 정세호와 정현은 문헌을 중심으로 고조선과 낙랑군의 위치가 한반도 북부가 아니라 요령지역에 있었다고 강조하였다. 홍기문 정세호 정현은 모두 김두봉과 연관되었는데, 비록 입장의 차이는 있었지만 신채호의 고조선 연구를 참고 수용했다. 향후 북한학계는 고조선의 위치를 요령지역에 비정하는 것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채택했다. 또한 신채호의 한국고대사 연구를 수용했다. 이 점에서 「력사제문제」수록 고조선 관련 연구는 북학학계의 방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연구사적 의의는 여기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introduces and reviews the researches on Old Joseon in Ryeoksajemunje , the bulletin o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which was set up to publish and study the history of Joseon. Its bulletin was Ryeoksajemunje , whose first issue was published in July, 1948. Ryeoksajemunje published research papers on Old Joseon by Hong Gi-mun in 1949 and by Jeong Se-ho and Jeong Hyeon in 1950. Hong Gi-mun argued that the locations of Nakrangun and Old Joseon should be understood anew to criticize the heteronomy theory of Joseon history raised by the Japanese historians during the Japanese rule. Following him, Jeong Se-ho and Jeong Hyeon emphasized that both Old Joseon and Nakrangun were located in Liaoning instead of the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literature. All of the three historians had something to do with Kim Du-bong and consulted and accepted the Old Joseon research of Shin Chae-ho with some differences in the position among them. Later, the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officially adopted the correction and criticism to place the location of Old Joseon in Liaoning and further accepted the researches on ancient history of Korea by Shin Chae-ho. In that sense, the researches on Old Joseon published in Ryeoksajemunje seem to show the directional nature of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which grants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history to the bulletin.
Ⅰ. 머리말
Ⅱ. 朝鮮歷史編纂委員會의 설립과 歷史諸問題
Ⅲ. 고조선 및 한사군의 위치비정
Ⅳ. 연구의 계보: 김두봉과 신채호
Ⅴ.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