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이스라엘의 안보 전략 변화와 그 함의

A Shift in Israel’s Security Doctrine and Its Implications: From Symmetric War Doctrine to Asymmetric War Doctrine

  • 446
123134.jpg

이스라엘의 안보전략은 군사력의 절대적 우위를 통한 거부억제와 핵능력을 통한 보복억제 중심의 대칭전에서 과도한 무력 사용을 통한 보복억제 중심의 비대칭전으로 진화해 왔다. 안보전략의 비대칭전으로의 전환은 몇 가지 함축적 의미를 지닌다. 첫째, 이스라엘의 안보 환경이 국가 간 전면전보다는 비국가 단체와의 비대칭전으로 변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이스라엘의 무력충돌 가능성은 이스라엘-아랍 분쟁이 소강국면에 접어들면서 (Sela 1997) 하마스, 헤즈볼라, 이슬람 지하드와 같은 비국가 단체와의 비대칭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째, 이스라엘은 미래 비대칭전에서 과도한 무력 사용을 동반한 비대칭전 안보전략 즉 다히야 전략을 계속해서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다히야 전략을 채택한 2006년 제2차 레바논 전쟁이후 헤즈볼라에 대한 억제력이 현재까지 작동하기 때문이다. 셋째 이스라엘이 미래 전쟁에서 부수적 피해를 동반한 다히야 전략을 사용해 레바논 또는 팔레스타인 민간인 사상자가 급증할 경우 이스라엘의 외교적 고립은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이스라엘의 비대칭전 안보전략이 우리에게 주는 함의는 북의 국지도발에 맞서 반드시 보복공격을 실행에 옮겨야 대북 억제력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효과적인 보복공격은 뛰어난 정보력이 요구되는 만큼 우리군의 정보수집 능력을 증강할 필요가 있다. 다만 과도한 보복공격은 핵을 가진 북과 전면전으로 확전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보복공격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8월 북의 목함지뢰 도발에 대한 보복차원에서 재개한 휴전선 대북확성기 방송이 대북심 리전에 매유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됐다. 따라서 군사적 보복이 어려울 경우 심리전 차원의 대북 방송을 이용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explore Israel’s symmetric security doctrine based on three pillars, deterrence, early warning and quick decision and Israel’s asymmetric security doctrine (Dahiya doctrine). In the 1980s with the emergence of Hezbollah and Hamas, the central gravity of Israeli security doctrine shifted from state (symmetric) to non-state organization (asymmetric). During the Second Lebanon war 2006 Israel employed so called, Dahiya doctrine using disproportionate military force in order to defeat Hezbollah. The shift in Israeli security doctrine to asymmetric war has several implications. First, Israel’s next war will probably be asymmetric war against Hamas, Hezbollah and Islamic Jihad rather than symmetric war against Arab countries due to the significant change of security circumstances such as, the decline of the Arab-Israeli conflict. Second, it is highly likely that Israel will use the same security doctrine (Dahiya doctrine) in the next round of war. Third, if the next round of war between Israel and Hamas or Hezbollah will engender a great number of civilian casualties in Gaza or Lebanon, which will lead to deepen Israel’s isol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이스라엘 안보전략의 세 기조

Ⅳ. 이스라엘 안보 전략의 변화: 대칭전에서 비대칭전으로

Ⅴ. 제2차 레바논 전쟁: 다히야 전략의 실효성

VI. 2008-2009년, 2012년, 2014년 가자전쟁 안보 전략

VII. 결론: 이스라엘의 다히야 전략의 함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