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영역 융합형 수업모델 개발을 위한 핵심역량 도출
Core competencies derived class model for social convergence zone development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 제4권 2호
-
2014.1257 - 72 (16 pages)
- 308

첨단 기술의 발전과 빠른 환경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우리 학생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여 성공적인 삶을 누리고, 기존 직업세계나 진로경로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고 대안적인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사회분야 미래 진로영역의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이에 교육부에서는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초점을 두고, 각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학교교육을 통해 함양하도록 하는 정책을 제안하였으며, 이경화 외(2014)는 사회영역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이를 함양하기 위한 수업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이 연구의 기초연구로서 사회영역에서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위한 델파이 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초, 중, 고등학교 학급별 그리고 경영경제, 법률, 정치외교 등 진로분야 별로 핵심역량은 향후 초중등 학생들을 위한 참여형, 융합형 진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mpetency to develop vitally, so that The students can serve as members of society and enjoy a successful life in an era of creativity that is growing in importanc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is to derive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social sectors such as economic, legal. Core competencie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d class mode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