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창의성과 유머스타일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e Personality and Humor Style in Children

  • 252
123291.jpg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이 창의적 인성과 유머스타일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지금까지 창의성에 관한 기초연구들은 성차연구를 하였으나 유머스타일과 연관하여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초중학생들 118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은 하주현(2001)의 검사지를 실시하였으며 유머스타일 척도는 Martin 등(2003)이 개발한 유머스타일 척도(HSQ)를 이재선(2005)이 번안 및 수정한 척도를 사용 실시하였다. 창의적 인성의 총점과 하위요인별로 각각 성차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 이와 함께 성별에 따라 유머스타일에 대한 차이도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창의적 인성 및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머스타일합에서 남학생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비순응적 유머의 경우도 남학생의 점수가 높았고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셋째, 창의적 인성과 유머스타일 간의 상관을 살펴보면 남며 학생 모두 창의인성 합은 유머스타일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 in creativity in primary and junior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as made. Firstly, Is there any gender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creative personality ?, secondly, Does boys and girls group makes any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humor sty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8 students(male ; 58, female ; 60). The creativity was measured by the test of creative personality and Humor Sty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18.0 SPSS program. The data were also tested by using the t-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sts of mean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the creative personality. secondly, there is also a gender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subfactor and humor style subfactor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