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외래 관광자의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 of Tour Experience toward Foreign Tourist - Focused on Bukchon Guesthouse -

  • 361
123314.jpg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방문하여 게스트하우스를 경험한 외래 관광자를 대상으로 하여 관광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연구모형의 가설검증과 함께 분석결과에 따라 현실적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시기는 2013년 4월 15일부터 2013년 4월 2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 관광자의 관광경험이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에서는 고유성, 관광체험, 관광매력성 요인이 모두 관광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만족은 재방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에서는 관광만족 요인이 재방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외래 관광자를 대상으로 하는 관광기업에서는 외래 관광자를 위한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우리나라 고유의 게스트하우스를 체험 할 수 있는 신상품을 개발하고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외래 관광자가 여러 가지 형태의 게스트하우스를 체험한 후에 관광만족에 이어 외래 관광자가 재방문을 하거나 추천, 구전 등 미래의 충성도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어 관광만족도 제고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empirical effect relation affecting tourists satisfaction and revisit targeting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Korea and experienced guest houses, and provide hypothesis testing and practical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Period of research continued from April 15 through April 25, 2013 and summary of empirical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hypothesis `foreign tourists` tourism experience will affect tourists satisfaction`, factors such as uniqueness, tourism experience and tourism attractiveness all exerted positive(+) influence on tourists satisfaction. Second, as for `tourists satisfaction will affect their revisit`, tourists satisfaction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I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tourism companies targeting foreign tourists to develop tourism products customized for foreign tourists and new products that enable them to experience Korea`s unique guest houses, and establish strateg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n addition, tourists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future loyalty such as revisit, recommendation and word of mouth after foreign tourists experience many different forms of guest houses, which implies significance of improvement of tourists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