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사회 관광의 공정성 의미 분석

Analysing the meaning of Tourism fairness in Korea

  • 289
123316.jpg

본 연구는 관광의 공정성의 의미를 분석하여 더욱 바람직한 관광의 공정성 개념을 재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관광분야의 공정성 연구가 ‘공정관광’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가운데, ‘공정관광’ 개념이 하나의 관광형태 또는 정책으로 고착되어 ‘공정(성)’의 의미를 충분히 포괄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으로 ‘관광의 공정성’으로 확장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관광의 공정성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전문가들은 관광이 공정하려면, 관광객, 지역주민, 관광사업체 종사자, 그리고 자연생태계의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전문가들은 지역주민과 생태가 관광분야에서 가장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피해를 받는 최소수혜자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보상하는 것이 공정하다고 본다. 관광의 공정성은 선행 공정관광 연구에서 논의하는 공정성 외에 거래나 교환관계 중심의 공정성이론, 최소수혜자 우선성을 주장한 Rawls의 정의원칙 등을 복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즉, 관광분야 이해주체간 관계는 단순히 거래적 측면으로 인식되기보다는 의무론적 접근과 노력이 필요한 영역이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관광’ 개념을 공정무역에서 발전된 개념으로 보는 것보다, 우리 사회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접근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공정관광을 비롯한 관광의 공정성에 대한 대중적 인지도는 아직 저조한 실정이며, 그 의미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조차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관광의 공정성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연구를 통하여 우리사회의 ‘관광의 공정성’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재구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간 이익을 배분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의 공정성에 대한 실천적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was performed by analysing the meaning of tourism fairness in order for restructuring more desirable concept of tourism fairnes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fairness in tourism research addressed with "fair tourism" which does not sufficiently comprehensive the meaning of fair(ness) thus the study expanded fairness of tourism and analysed the meaning of fairness. As the result of analysing tourism fairness, the experts stated in order to be fair in tourism tourists, local residents, tourism businesses workers and environments must be guaranteed the rights. In particular, the experts recognised the environments were less guaranteed and more damaged from the tourism, thus it should be compensated for fairness. Fairness in tourism involved the theory of fairness which focused on trading or exchange relationship, and Rawls"s minimum beneficiaries which defined principles of the justic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of tourism interested parties was required compensatory justice approach. These result suggested the concept of fair tourism is not developed from the concept of fair trade, it should be recognised on the basis of "fairness" in our society. Furthermore, public awareness about the fairness in tourism was still low, even the experts" opinions were not consulted.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reconstruct the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the fairness of tourism in our society. Moreover, practical future research about profit allocation between stakeholders is expected.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