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항공사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직건강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보는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항공사 조직건강 요인들을 규명하고 직무만족을 통하여 조직몰입을 높이는 변인들을 통해 항공사 조직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공항에 근무하는 항공사지상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180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항공사 조직건강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사 조직건강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건강과 직무만족,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 조직건강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직무만족은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공사의 성과와 서비스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항공사 조직건강을 높임으로써 종사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를 위해 조직건강의 요인인 조직구조, 조직풍토, 리더십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health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airline compani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ground staff employees of airlines working at an airport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ith SPSS 18.0 and AMOS 19.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healt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organizational health also has a statistical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ly, job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health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the role of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health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irline staffs.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