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론과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호텔 기업의 인적자원 유연화가 구성원들의 직무 불안정성, 이직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호텔기업의 유연화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이 직무 불안성성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장 및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인적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증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자원의 하위 요인 중 비정규직 증가를 제외한 정리해고, 성과보상제도, 직무수행역량 강화가 구성원들의 직무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적 자원의 하위 요인 중 정리해고, 직무수행역량 강화가 구성원들의 이직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 불안정성은 이직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 기업은 구성원들의 의욕적으로 자신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공정한 평가 및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여 성과 지향적 조직 문화를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이 직무수행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제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행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호텔의 종합적인 인적자원관리와 연계하여 탁월한 직무수행역량을 갖춘 구성원들에게 인센티브와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hotel organization’s flexibility in human resource which can be perceived by hotel associates on job insecurity, turnover inten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ordinate elements of flexibility, layoff, reward system based achievement, job performance competency has a decisive effect on job insecurity of member. Second, subordinate elements of flexibility, layoff, job performance competency has a decis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of membe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are supported. Therefore, hotel organization should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undertake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and rewards system which all members can acknowledge. Finally, this must be connected to the hotel’s gener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to give members with outstanding job performance abilities rewards and incentives accordingly.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