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객의 관광지에 대한 정체성인식, 진정성체험, 그리고 관광지 평가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정체성인식과 진정성체험이 관광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정체성과 진정성의 두 개념을 구성하는 잠재요인들을 하위요인으로 두고 각각의 정체성과 진정성의 상위개념이 하위요인들을 대표하는지 1차 요인과 2차 요인의 측정모형을 비교분석하여 본 연구에 더 부합되는 모형을 토대로 전체 구조모형의 적합성여부와 잠재변수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표본추출 및 자료수집은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한 천년고도 경주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불국사, 보문단지, 시내권(첨성대, 안압지, 대릉원 일대), 박물관 등에서 설문에 응하기로 동의한 488명의 응답자 중 거주민에 의해 응답된 설문지 3부와 무응답이 포함된 6부가 포함된 9부를 제외한 47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체성과 진정성체험의 개념을 이용한 1차 요인 및 2차 요인의 두 측정모형이 모두 적합하나 1차 요인의 측정모형이 더욱 부합되는 결과와 관광지 정체성, 진정성체험, 그리고 관광지 평가의 1차적 요인모형을 이용한 전체구조모형의 적합성 여부에서 변수간 인과관계를 검증하기에 적합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잠재 변수간 관계에서 경주의 역사문화자원, 자연자원, 산업자원으로 구성된 지역정체성인식만 관광지평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정성체험 중에서는 실존적 진정성만이 p=0.1에 가까운 유의도 수준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문에서 이론적·실무적 함축된 의미를 논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is study is to explore a structural model among place identity, authenticity, and the assessment of a cultural tourist destination and analyze the impact of tourists’ perceived place identity and authenticity experience on the assessment of a cultural tourist destin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compared two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using the first order vs.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f place identity and authenticity comprising 3 sub-components respectively. Gyeongju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t Bulguksa temple, Bomun Tourist complex, National Gyeongju Museum, and data were analyzed, mainly utiliz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place identity, authenticity, and the assesment of the city Gyeongju. Secondly, while the hypotheses tes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ce identity and the assessment of the cultural tourist destination, Gyeongju were adopted, the hypotheses tes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henticity experiences and the assessment of the cultural tourist destination, Gyeongju were rejected. This study concludes a discussion of potential theoretical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가설설정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