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을 관광 목적지로 방문한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그들의 고객가치에 따라 유사성을 가진 집단으로 세분화 해보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군집분석의 타당성을 검정해 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고객가치에 따른 세분화된 군집별로 관광지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고객가치를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 기능적 가치의 3개의 요인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고객가치를 유사하게 인지하는 집단을 군집분석을 통해 ‘적극적 가치 추구형’, ‘중립적 가치형’, ‘소극적 가치 추구형’으로 세분화하였다. 둘째, 관광지 선택속성은 체험요인, 서비스 품질 요인, 자연 요인, 접근성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은 관광지선택속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가치 추구형’은 체험요인, 서비스 품질 요인, 접근성 요인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립적 가치형’은 자연 요인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urism selection attribute and the customer value cluster by Japanese Tourist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empirical analysis, three customer value factors and 4 factors of tourism selection attributes were identified. The three customer value factors were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The four factors of tourism selection attributes were experience factor, service quality factor, nature factor, accessibility factor. Japanese touris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based on their values. Those three clusters were named "active value oriented group", "neutral value group" and "passive value oriented group". Preferences of tourism selection attributes for three clusters were analyzed revealing the differences among clusters. Several implications regarding this results and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possible researches were mentioned.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