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출수준에 따른 관광행태 세분화 및 비용만족도 비교분석

The Segmentation of Domestic Tourism Market by Travel Expenditure and Characteristics

  • 250
123329.jpg

본 연구는 국내관광시장을 세분화하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속형 변수인 지출 비용을 비롯한 범주형 변수인 관광행태(동반자 유형, 관광 방식)로 이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장세분화에 주로 사용되었던 지리적 요인, 인구통계적 요인, 심리적 요인, 행동 요인이 아닌 지출비용 변수를 중심으로 하여 국내관광시장의 관광행태를 세분화한 것이 특정이다. 지출비용 변수는, 최근 관광시장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지출 수준이 높은 관광객 시장이 표적시장으로 부각되고, 국내에서 불경기로 인한 관광비용 감소와 비용경쟁력이 문제점으로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구체적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관광지출비용을 중심으로 관광행태에 따른 국내관광시장 세분화 결과, 크게 4가지 유형(고지출/가족/FIT, 고지출/연인/FIT, 중지출/친구/FIT, 저지출/사회모임/단체)이 나타났다. 고지출/가족/FIT와 중지출/친구/FIT 관광유형의 시장점유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관광비용은 단체보다 FIT 집단이 1.4~2배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관광시장의 관광비용은 평균 약 22만원으로 나타났으며, Chi-square분석과 대응일치분석결과 국내관광시장 관광행태 유형은 결혼여부, 월소득수준, 직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비용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지 않게 나타났고, 특히, 고지출/가족/FIT 집단은 모든 비용항목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장점유율과 지출 수준이 높지만, 지출 대비 만족도가 낮은 고지출/가족/FIT 집단을 표적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심도 있는 경쟁전략 수립을 통한 국내관광비용개선 전략의 중요성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was to segment domestic tourism markets by using two-stage cluster analysis with tourism expenditure, tourism company, and tourism mode. Based on the literafure review, theoretical background and market segmentation approach was discussed. And also, two-stage cluster analysis was explained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and approach A total of 22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on site survey in Seoul analyzed in SPSS. From the results of two-stage cluster, four different segmented groups were suggested such as heavy spending/family/FIT, heavy spending/lovers/FIT, midium spending/friends/ FIT, light spending/social friend/group. Among these groups, light spending/social friend/group segment positioned high market followed by midium spending/friends/FIT segment, and heavy spending/family/FIT. From the results of Chi-square and correspondence analysis, marriage, monthly income, and job are associated, with these segmen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a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