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호스피탈라티기업의 직업적 웰빙에 관한 구조적 관계 연구

Structural Relationship of Perceived Occupational Wellbeing in Hospitality Organizations

  • 44
123329.jpg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직업적 웰빙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한 연구이다. 동시에 서울지역과 비서울지역간 그리고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직업적 웰빙인식의 구조적 관계가 차이가 있는지 다중집단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의 탐색적 특성으로 판단표본추출방법을 통해 유효표본 376부의 응답자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검증을 위해 실시한 직업적 웰빙인식의 근무조건, 공동체 인식, 종사원과 업무, 그리고 전문적 역량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근무조건변수만 제외하고 나머지 3개 직업적 웰빙인식변수는 모두 가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직업적 웰빙인식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집단간 유의한(p<.05)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호텔종사원의 직업적 웰빙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것이다. 즉, 호텔 조직내 종사원간 원활하고 적절한 의사소통으로 종사원의 정신적 혹은 신체적 건강의 문제를 신속하고 관리 및 해결하고, 호텔조직내 공동체의식을 통해 결속력을 강화하는 것이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근무조건 개선 및 종사원의 전문적인 역량강화를 통해 업무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증진하여 경쟁력있는 호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occupational wellbe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tel organization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regular and contingent employees working at (super) deluxe hotels in Seoul, Daejeon, and Daegu. Three hundred and seventy-six questionnaires, with a 94.0% response rate from a judgmental sample of 400 hotel employees, were utilized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constructs. SPSS (11.5 version) was employed to analyze the unidimensionality of research concepts and reliability 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dopted to identify four underlying dimensions of perceived occupational wellbeing: working condtion, working community, worker and work, professional competence. All three dimensions of perceived occupational wellbeing except for working condition showed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erceived occupational wellbeing between regular and contingent hotel employees. And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examined.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의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