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서울에서 개최되는 대표적인 와인이벤트 유형에 근거하여 와인이벤트 참가를 위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참가자 유형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와인이벤트 참가자의 각각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채택된 482개의 유효표본에 다중선택(Multinomial Logit: MNL) 모형을 적용하고 시장세분화를 통해서 와인이벤트 참가를 위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따라 사교 지향형, 와인 음용형, 소극적 관심형, 적극적 외향형 집단의 4개 유형별로 각각 다른 특성이 도출되었다. 사교 지향형은 와인구입에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프로그램 요인에 관심이 많은 화이트칼라 집단이고, 와인 교육경험이 있는 와인 음용형은 다른 집단에 비해 와인교육경험을 가지고 프로모션, 와인구성요소와 프로그램 요인에 관심이 많은 집단으로 파악되었다. 소극적 관심형은 교육수준이 낮고 와인구입을 위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을 적게 지불하며, 적극적 외향형은 높은 연령대의 고소득층으로 모든 와인이벤트 유형을 선호하고 와인 구성요소와 인지도 요인에 관심이 많은 집단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divided participant types according to the lifestyle for participating in the wine event, based on the most representative wine event type held in Seoul.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heck main effect factors affecting each wine event type for participation in the wine event. I adopted 482 valid specimens, and analyzed effect factors for participation in the wine event, through the market event segmentation and setting of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The result from this study and others allow us to conclude tha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by lifestyle; social aspiration, beverage wine consumers, passive concern and active extrovert have respective characters. For starters, social aspiration group spends relatively more money and interested in program factor in comparison with other groups. The beverage wine consumer in the group which is wine education experience, and is interested in the factor of promotion, wine element and program factor in comparison with other group. Passive concern group has low education level and spends relatively less money for purchasing wine in comparison with other groups. And lastly, active extrovert group is preferred all the wine event types as a higher-income bracket of elderly people and seems to understand that has a lot of interested in the wine element and recognition factors.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