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Understanding Tourism Constraints for Travel Intention and Actual Travel Behavior

관광제약요인에 의한 관광의도와 실제 관광행동의 차이

  • 58
123349.jpg

본 연구는 의도한 관광목적지와 실제 방문한 목적지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에 기초하여 관광객이 본래 여행계획을 변경하게 되는 원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 여행결정과 관련된 제약요소, 2) 목적지선택과 관련된 제약요인, 3) 실제 방문과 관련된 제약요인 등의 3가지 관광제약요인에 기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종단 패널 연구(longitudinal panel study) 기법을 활용하여 특정 목적지를 방문하고자 했던 사람들이 왜 방문하지 않게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1단계 자료수집은 여름휴가철 직전에 여론조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6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면접조사(face-to-face interview)를 통해 이루어졌다. 2단계 자료수집은 1단계에서 응답한 600명을 대상으로 여름휴가를 다녀온 후에 전화 조사방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1단계 응답자 600명 중 527명이 응답하여 87.8%의 회수율을 보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약 절반정도만이 원래 의도한 목적지를 방문하였으며 그 중 25.4%는 체류기간 혹은 방문시기를 변경하였으며 응답자 중 22.2%는 방문 목적지를 변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이 원래의 방문계획을 변경하는 여러 이유 중 구조적인 제약요소 특히 시간적인 제약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내적 제약요소는 목적지 선택을 변경하는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asons why people change their original travel plans. This paper builds on existing tourism constraint research by investigating three different levels of tourism constraints; 1) constraints related to the decision to travel, 2) constraints related to the choice of destination, and 3) constraints related to actual visits. A longitudinal panel study was adapted to explore why certain travelers who made a choice to visit a specific destination became non?visitors. Data were collected in two stages. The first stage was conducted using face?to?face interviews by a polling agency just before the summer vacation season and the second stage was carried out after the summer vacation season using a telephone survey. Cluster sampling was adopted to select 600 respondents at the first stage and a total of 527 respondents (87.8%) replied at the second stage. Results indicate that little over half of potential visitors actually visited their intended destination, and of these 25.4% changed the duration of stay or date to visit, and 22.2% of respondents who actually made a trip changed their destinations after a travel decision was made.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people postponed, gave up, or changed their travel destination was structural constraints, especially time?related constraints. In addition, intrapersonal constraints affected the decision to change a destination choice.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OLOGY

Ⅳ.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요약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