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항공사종사자의 역할스트레스가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role Stress of Airlines Employee on Their Burnout

  • 152
123349.jpg

본 연구는 항공사종사자의 역할스트레스가 종사자의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부정적 직무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감정고갈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종사자의 감정고갈을 미연에 관리하여 경영상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역할스트레스, 감정고갈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대상은 국내에 소재한 항공사의 시내사무실과 공항사무실의 예약발권종사자와 공항종사자로 한정 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고,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준거로 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감정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스트레스의 분석결과로는 첫 번째, 정서적 고갈에 대한 역할스트레스는 역할과부하와 역할갈등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두 번째, 비인격화에 대한 역할스트레스는 역할모호성과 반복적업무가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세 번째, 자아성취감저하에 대한 역할스트레스는 역할갈등과 반복적업무가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의 분석결과로는 첫 번째, 정서적 고갈을 조절하는 조절변수로는 자신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두 번째, 비인격화의 조절변수로는 자신감과 자기조절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 번째 자아성취감 저하의 조절변수로는 자기조절감과 과제난이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f airlines employee on their burnout. The study was aimed to manage and prevent the burnout that could cause negative job outcomes from happening and to ensure the competitiveness in management. In order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role stress, burnout and self-efficac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study included the reservation clerks and airport staff who worked for offices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research and was re-formulat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and experts' researches. After analyzing job stress affecting burnout, the following has been found. role stress for emotional exhaus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role, subordinates and role conflict, role stress for disengage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role ambiguity and repetitive duties and role stress for feelings of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ole conflict and repetitive duties. Lastly, after analyzing the control effects of self-efficacy, the factor of self-efficacy controlling emotional exhaustion was a sense of confidence and the factor of disengagement was a sense of confidence and self-control. Meanwhile, the control variables of feelings of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were a sense of self-control and controlling effects in the difficulty of assignment.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조사설계와 분석방법

Ⅳ. 분석의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