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축제 방문동기와 경험후 행동관계에서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Motive of Visitation and Post-experience Behavior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Based up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Inhabitants: The case of Arirang World Festival, Jeongseon, South Korea
- 117

본 연구는 순수 문화관광축제로서 정선아리랑제를 대상으로 지역주민의 문환관광축제 방문 동기 유형을 도출하고, 이것이 문화관광축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문화관광축제 만족도가 관광재 경험후 행동(구매후 행동)으로서 재방문과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변수가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제 유형의 축제를 대상으로 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방문자 즉, 관광자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는 지역문화의 주체인 지역주민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는 지역주민과 지역간의 유대관계와 관련한 변수를 사용하여 관광재 경험후 행동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는 매우 희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만족과 경험후 행동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선행연구의 기존 가설을 문화관광의 주체중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축제의 경험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예상되는 ‘정주의식’을 변수로 투입하여 그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제31회(2006. 9.29-10.2) 정선아리랑제를 방문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194개의 유효표본을 분석한 결과, 지역주민의 문화관광축제 방문동기 요인은 탈일상성, 사교성, 유오성, 신기성, 고유성 등 5개 요인으로 요인화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문화관광축제 방문동기 요인 5개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동기요인 중 고유성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관광축제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지역주민의 정주의식이 강할수록 정의방향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관광축제 만족도가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지역주민의 정주의식이 강할수록 정의방향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concern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were investigated that if visitors were mainstream tourists as the effects of their collective behavior caused an increase in tourist population to specific destinations. Many marketers were interested in potential benefits of understanding the patterns of tourism within this subgroup. This paper, in contrast, considers the viewpoint of host city inhabitants. Data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during the Arirang World Festival, held in Jeongseo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of 196 useful samples are reported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was forwarded that inhabitants' motives will affect visitor satisfaction level during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hypothesis was partially confirmed. Of five primary motivational issues identified, authenticity of presentation prove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Second, the hypothesis was accepted that inhabitants' satisfaction level will affect positive to revisit intention with inhabitants' settlement consciousness. Third, the hypothesis was accepted that inhabitants' satisfaction level will affect positive to recommendation intention with inhabitants' settlement consciousness. To conclude, visitors' motivations are shown to positively inhabitants' satisfaction levels with local cultural tourism festivals. Further, inhabitants' satisfaction level affects post-experience behavior amongst travelers, such as revisit or recommendation intentions.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접근
Ⅲ. 연구설계
Ⅳ. 조사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