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자료
<자청비>와 <당금애기>에 구현된 풍요의 신화적 논리와 '여신론'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문
- 제47차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학술대회
-
2015.041 - 14 (14 pages)
- 223
커버이미지 없음
1. 생산하는 대지 여신-‘지모신(地母神)’이라는 통념
2. 신화 서사의 풍요 원리 : 초월적 힘의 소종래(所從來)
2.1. <당금애기>의 풍요 원리
2.2. 출산과 무임(無姙)의 접점과 차이
2.3. 풍요 구현의 성별 역할
3. 여신의 ‘지도(地圖)’와 당금애기·자청비의 ‘자리’
3.1. 지도 제작의 필요성
3.2. 당금애기·자청비의 ‘자리’
4.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