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 및 여가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여가활동 참여가 사회성 발달 및 여가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고, 여가활동의 유형별로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 및 여가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적합도를 보여주었으며, 제시한 3개의 가설중 2개의 가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여가참여에 대한 중요한 몇 가지 사실이 확인되었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여가참여는 사회성 발달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들의 여가참여는 여가만족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여가유형 모두 여가참여가 사회성 발달 및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참여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d how leisure participation had effects on sociabi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leisure participation, sociabi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positively, and analysed the relations between leisure participation, sociabi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isure patterns positively. Proposed models showed satisfactory fitness generally. Out of 3 proposed hypotheses, 2 hypotheses proved significant. Through positive results of this study, some facts on high school students leisure participation were confirmed. First, high school students leisure participation played a very positive role on sociability. Second, high school students leisure participation played a very positive role on leisure satisfaction. Third, in two leisure types, leisure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bi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participation had a greater influence on sociability than leisure satisfaction.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First,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insufficient to be the whol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s a population. Second, the regions of investigation were limited to the metropolitan cities such as Seoul, Daegu and Busan. Third, the number of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was small not enough to generalize on a national basis.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모형 설계 및 분석방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