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3693.jpg
KCI등재 학술저널

明治後期における日本人としての拓殖教育論

Late Meiji(明治) Emigrant Education as Nihonjinron

  • 23

본고는 메이지후기에 일본인론으로서 전개되었던 ‘척식교육’론의 특징을 밝힌 것이다. ‘척식교육’은 출이민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한다. 1900년경의 종합잡지 지면의 논의와 러일전쟁후의 대표적인 논자인 타케코시 요사부로(竹越&#19982;三&#37070;)·시가 시게타카(志賀重昻)의 척식교육론을 검토했다. 그 결과 밝힌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00년경의 종합잡지의 논의를 검토한 결과, 척식교육론의 출처의 하나가 <일본인론으로서의 식민론>이란 것이 확인되었다. 그 논의의 특징은 식민사업의 주체를 국민·민족으로 한다는 것과, 이주지가 정치적 지배하에 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식민’으로서 논의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당시 북미의 배일운동(排日運動)을 배경으로 일본인의 식민적 자질에 불안을 표명하고, 서양의 식민국을 본받아 국민성을 개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수단으로 척식교육이 제안되게 된 것이다. 둘째, 척식교육의 대표적인 논자였던 타케코시와 시가에 대해서 각각의 논의 내용을 밝혔다. 둘 다 서양제국과 비교해 일본인의 식민적자질에는 불안이 있음을 지적하고, 척식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틀은 공유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책으로서 타케코시는 학교 교육에서의 ‘식민학과’의 설치와 식민전문학교 창설의 필요성을 논하는 것과 함께, ‘식민문학’을 일으킬 것을 제창했다. 이와 달리 시가는 신체 단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식민에게 필요한 정신적인 소양도 육체의 단련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 of ‘emigrant education’ that was progressed as Nihonjinron in late Meiji(明治) period. ‘Emigrant education’ is the comprehensive word regarding education for talented people training of immigrants and emigrants. This research reviewed the discussion in the general magazine in around 1900 and the emigrant education of Yosaburo Takekoshi(竹越&#19982;三&#37070;) and Shigetaka Shiga(志賀重昻), a representative debater since Russo-Japanese Wars. As the result, following points were determined. Above all, as the result of reviewing the discussion of general magazine of 1900s, it was determined that one of the sources of emigrant education was <Colonialism theory as Nihonjinron>.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cussion was on the point to put the subject of colonial business as the people·national people, and ‘colonization’ regardless of political domination of the emigrants. Also, based on the background of anti-Japanese struggle of North America during that time, it expressed anxiety about colonial qualification of Japanese people and insisted improvement of national character following the example of colonial power. As the means, emigrant education wassuggested. Next, regarding Takekoshi and Shiga, representative debaters of emigrant education, respective discussion content was determined. Both of them pointed out the anxiety about colonial qualification of Japanese people compared to western empires, also, they shared the frame to explain the necessity of emigrant education. As a concrete plan, Takekoshi emphasized improvement of national idea by literature. On this, Shiga emphasized importance of physical drill.

Ⅰ. はじめに

Ⅱ. <日本人論としての植民論>と拓殖&#25945;育論の勃興

Ⅲ. 竹越&#19982;三&#37070;と志賀重昻の拓殖&#25945;育論

Ⅳ. おわりに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