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전시가에 나타난 음식 이념의 양상과 그 의미

Aspects of Food Ideologies appearing in Sijo, and its Meanings

  • 243
123679.jpg

이 글은 시조에서 음식이 소재로 쓰였거나 주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작품을 대상으로 작품 속에 나타난 음식 과 먹음 의 다양한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음식 이념(Food Ideology) 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그 이념들이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쾌락주의(hedonism)는 감각적 쾌락을, 영양주의(nutritionism)는 건강과 영양 가치를, 영성주의(spiritualism)는 도덕이나 형이상학적 가치를 중시하고 지향하는 이념이다. 연구 결과 주목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이 술인 경우 세상일을 회피하고 시름을 달래는 수단의 의미를 띠면서 동시에 욕망 긍정과도 상통한다. 둘째, 시조 작품에는 쾌락 지향과 이념 지향이 뒤섞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사회적 균형 감감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셋째, 음식과 먹음이 화자의 사회정치적 지향을 드러내고, 그가 지닌 이념을 구현하는 매개물 구실을 할 때도 있다. 이런 점에서 시조 작품에 나타난 음식과 먹음은 사회정치적 함의가 아주 강함을 알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various meanings of Food and Eating that appear in Sijo, particularly the works which used food as the theme or the subject.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d interpret the meanings and ideas in Sijo works that are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Food Ideology . Hedonism indicates sensual pleasure, Nutritionism for health and nutritional value, Spiritualism as moral or metaphysical value. The result of the study follows: If the food is alcohol, it functions as a way of running away from the world which also stands out as an affirmation of desire. Secondly, in many cases, Sijo works carry both ideology-oriented and pleasure-oriented tendency. This is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the sense of social balance. Lastly, the topic of food and eating indicates the socio-political views of the narrator and used as the tool to construct ideology. In this sense, food and eating used in Sijo works are strongly carrying the socio-political implications.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음식 이념의 양상

3. 음식에 담긴 사회정치적 함의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