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봉교자술>의 경험 서사에 나타나는 천주교 인식

A Study about Cognition of Catholic on Experience Narrative of Bongkyojasul

  • 144
123679.jpg

본고는 조선 후기 천주교 도회장이었던 김기호가 작성한 <봉교자술>에 관해 연구한다. 특히 <봉교자술>에 나타나는 경험들이 특정한 글쓰기 양상 을 통해 구성되는 모습과 그것을 가능하게 했던 인식적 기반 에 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성당 건설에 관한 서사를 매개로 구성되는 <봉교자술>의 상권과 하권에서, 서로 다른 글쓰기를 통해 나타나는 경험의 서술 양상에 주목한다. <봉교자술>의 상권에서는 일화적 글쓰기를 통해 천주교 교리에 대한 공부 경험이,하권에서는 천주교의 지식을 바탕으로 경험에 대한 성찰적 글쓰기가 나타난다. 이를 통해 <봉교자술>에서는 천주교에 대한 믿음의 체화를 바탕으로 사물의 이치에 대한 공부와 삶에 대한 성찰을 형상화한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이러한 모습이 유가적 수양론에 대한 인식적 기반을 바탕으로 서술된다는 점에 관해 설명한다. 이러한 경험 서술 양상은 당시 토착화된 교리서들의 형성과 맥락을 같이한다.그동안 천주교 토착화에 대한 논의는 주로 교리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고의 논의를 통해 봉교 경험이 서술되는 맥락에서 조선 후기 천주교의 토착화에 관해 논의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studies about Bongkyojasul(奉敎自述) written by Kim ki-ho who is leadership of Catholic in the late Chosun dynasty. Especially focused on constructed aspect though particular narrative structure and its cognitive ground . For this, this thesis argues about difference writing aspect of experience narrative in Bongkyojasul which is mediated by narrative about construction of Catholic church. The first volume of Bongkyojasul narrates study experience about Catholic using anecdotic writing. The second volume of Bongkyojasul shows reflective writing on experience using Catholic doctrine. And then this thesis explains that experience narrative in Bongkyojasul has cognitive ground of Confucian cultivation. This aspect is same structure on naturalized Catech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thesis suggest new possibility of discourse about naturalization of Catholic, using not only doctrine but also experience narrative.

<국문초록>

1. 서론

2. <봉교자술>에 나타나는 경험의 서술 양상

3. 성당을 매개로 나타나는 <봉교자술>의 경험 서사

4. <봉교자술>에 나타나는 경험 서사의 인식적 기반

5.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