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북한출판물의 민족문화유산 편입 연구

A Study on incorporation about The publications of North Korea to National cultural heritage

  • 169
123740.jpg

한글 공동체로서의 북한 사회는 우리와 같은 언어 공동체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이념의 갈등으로인해 그 문화유산을 한국 문화의 본류에 포함시키는 데 장애가 적지 않았다. 그런데 장차 통일에 대비하여서는 북한의 출판물들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요 관심사이다. 분단시대북한의 출판물은 체제 수호와 주체사상의 선전 선동 등을 당면의 목표로 삼고 있지만, 곰곰이 살펴보면탈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민족 공통의 유산이 될 만한 것들도 적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 지역 한국학의 성과 가운데서 이념적 편향을 사상(捨象)하고 민족의동질성을 뒷받침해 주는 부분을 중심으로 그 지평을 넓힘으로써 통일 시대 민족 문화의 창달에 기여할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른바 주체사상의 주입을 위해 만들어진 도서 및 김일성 일가에대해 일방적 찬양 고무하는 내용 위주의 이념 서적은 제외한 고대 신화, 구비문학, 고전소설, 한문고전의 국역(國譯) 출판물 등은 충분히 우리 민족 문화 자산으로 편입할 여지가 적지 않다고 본다.이를 통해 우리 문화 영역을 확장하고 출판문화 유산의 양과 질을 크게 일신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있으리라 전망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출판인들은 오랫동안 분단과 냉전의 분위기에서 출판 행위 자체에 제약이 따르는 가운데한민족의 한국학관련 출판물을 어렵게 기획하고 확충해왔다. 즉, 이념과 법적인 제약의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간헐적으로 북한지역의 일부 한국학 관련 국내 출판이 이루어져 온 것이다. 그러다 보니 한민족의 출판과 출판 연구에 따른 출판문화 토대를 광범위하게 준비하고 논의하기가 쉽지 않았다. 출판학은인문학이나 정치경제학 등 다른 분야의 학문에 비해 이를 실질적으로 종합하고 소통하는 역할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있어서는 이러한 제한적 요소들로 인해 만주와 북한지역으로 영역을 제대로확대하여 논의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이념과 국적을 넘어 한글 상용의 공감대를 아우른 한글 출판물에 대한 조사연구, 특히 한국학 관련 출판물에 대한 발굴 조사는 지금까지의 제한적이었던 한민족출판문화 역량을 새롭게 검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적대의식을 청산하고 한민족이라는 공 통의 의식을 함께 하면서, 위에서 보았듯탈이데올로기의 견지에서 북한 출판을 새롭게 볼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남북 양측이 저작권 교류를활성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족 전래의 고전 및 민속, 그리고 한문 고전, 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담은문학 작품들이 풍부하게 창작되고 출판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근대 민족선각자들이 민족정기를 일깨우기 위한 방편으로 잡지를 발행했던 동기에서 보듯, 출판은민족의 정신을 일깨우고 후대에 그것을 접목시키는 보이지 않는 교사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근대 이후 출판을 통한 우리의 정신사를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진정한 이해를 통한 사회 통합의 기틀을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통일 시대를 향한 민족적 자부심을 높이면서 민족 공통의 문화 유산을 어떻게확장할 것인가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North Korea is a language community for a long time. But due to the conflict of ideologies, Korean people have failed to include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 in mainstream culture. So, what you see on the unification of North Korea is a major concern of this paper. North Korea makes its era division of the publication of the propaganda system with the goal of defending the Juche idea. But not a few things that will catch peoples common heritage in off-ideology. In this study, eliminating the ideological biases among those picked North Korean publications that support the homogeneity of the nation. Through this plan, we tried to draw channel to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national culture era. We have thought that, ancient myths, oral literature, classic novels of ancient publications has considerable room to fully incorporate into our national cultural assets. Through assuming, we expected to expand our cultural area, and can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significantly renovate the quality. So, we must try clearing a hostile consciousness and a common consciousness Korean. From the perspective of ideology, we need to ride newly published in North Korea. By establishing our newly published by mental history, we will be able to provide a framework for social cohesion. In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era, the goal of this research will enhance national pride to what extend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the nation.

국문초록

1. 문제의 제기

2. 어떻게 민족정신의 동질성을 회복할 것인가?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