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현대 독서법의 출판 동향과 독서이론 연구의 가능성

A Study on the contemporary research of books of reading guide and reading theory

  • 332
123742.jpg

본고는 그동안 산만하게 전개되어 온 독서법 출간과 독서이론 연구들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정리하여 이를 유형화함으로써 인문학적 독서이론의 연구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기존의 독서법은 주로 교육론적 입장에서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 이론으로 전개되어 왔으나 형식주의, 구조주의, 수용미학, 해체주의 등의 영향 속에서 독자중심 이론과 사회문화 구성주의의 교육학적 독서이론이 형성된 것이다. 독서이론은 때로는 독서치유론, 독자심리학 사회학으로 확대되어 가지만 정작 독서란 무엇인가 규정지어지지 않은 것은 결국 독서이론이 독자적으로 개념이 서지 않은 결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의 독서이론 연구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독서법 몇 가지를 근거로 하여 이론과 접맥을 통해 독서이론의 유형을 나누고 이를 순수 독서라는 인문학적 입장에서 평가함으로써 각각의 이론적 가치를 비교 논의하여 보았다. 인지주의, 사회문화 구성주의가 교육학에서 삐아제 비고츠기의 이론이라면 형식주의, 독자중심 이론은 문학에서의 형식주의 신비평, 수용미학에서 발전되어 온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밖에 해체주의는 사회문화 구성주의와 텍스트 중심주의는 독자중심주의와 무관하지 않음도 알게 되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인문학적 독서이론을 정교하게 유형화함으로써 개별 상황에 적절한 새로운 독서법을 응용할 수 있도록 조건을 형성해 주는 일이다. 만약 현대 독서이론에 대한 인문학적 틀이 가시화된다면, 이를 근거로 조선시대 전통문화적 독서법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어 볼 생각이다.

In this paper, the author intends to organize and stereotype the publications of the reading methods and the researches into the theory of reading that have developed excursive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umanities for the purpose of seeking the possibility of researching into the theory of reading through the humanistic approach. The conventional reading methods have mainly developed into cognitivism and social construction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 theory, yet reader-centrism and pedagogical reading theory of the sociocultural constructionism have been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formalism, structuralism, perception theory and deconstructivism. The reading theory often extends to reading therapy, reader psychology and sociology. Nevertheless the clear definition of reading has not been established, implying the absence of independent concept of the reading theory. In this study, the author, therefore, categorized the reading theories based on a few of the most typical reading methods through theories and contexts and evaluated the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umanities, i.e. pure reading, and compared the theoretical value of the respective theories. More specifically, the author intended to reveal that the reader-centrism has developed from the formalism new criticism and the perception theory in the literature whereas cognitivism and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are the theory of J.Piajet and L.Vygotsky in the pedagogy. In addition, the author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deconstructivism and textualism are associated with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and reader-centrism. Through further studies, the author will stereotype the humanistic reading theories exquisitely to form the conditions for applying new reading methods to respective contexts. If modern humanistic framework for reading theories is achieved, the author will address the conventional cultural reading method of the Chosun Dynasty in depth.

국문초록

Ⅰ. 서론 - 독서이론의 연구 동향 및 문제 제기

Ⅱ. 독서 이론의 개념과 유형화

Ⅲ. 결론 - 인문학적 독서이론 연구의 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