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4011.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본 순자 성악설

Social Philosophical View on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Focused on Life, Ethical and Social Issues

  • 1,893

정말 순자의 성악설에는 모순이 있는가? 이 문제에는 두 가지 입장이 존재한다. 하나는 성악설에는 모순이 존재한다는 도덕 형이상학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모순이 없다는 사회 철학적 관점이다. 도덕 형이상학 관점을 가진 학자들은 ‘인간 본성이 악한데, 예의를 통해 본성이 선해질 수 있다’는 주장은 모순으로 본다. 반대로, 사회 철학적 관점을 가진 학자들은 ‘인간 본성이 사회질서의 혼란을 가져올 때, 그것을 악으로 파악하며, 예의를 통해 인간은 선해질 수 있다’고 해석하여 성악설에 모순이 없다고 주장한다. 과연 이 두 관점 중 어떤 것이 더 타당한 해석인가? 필자는 두 해석 중에서 사회철학적 관점에 동의한다. 왜냐하면 순자의 성악설은 사회 속에서 인간의 생명·윤리 도덕적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관점으로 구성된 ‘예(禮)’를 위한 철학적 전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의 목표는 사회 철학적 관점을 통해 도덕 형이상학의 관점에서 제기된 이론적 모순을 분석하여 순자의 성악설이 사회 철학적 관점으로 해석될 때 모순이 없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도덕 형이상학 관점과 사회 철학적 관점의 균형적 비교분석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두 관점의 정의와 해석의 차이를 정식화시켜 순자의 성악설이 사회 철학적 관점으로 해석되어야 타당함을 주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순자의 성악설이 당대 사회적 생명·윤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사상의 전제임을 도출하겠다.

Is it correct that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has been debased as self-contradictory? There are two interpretations focusing on the issue. One is called the traditional metaphysical analysis which argues that ‘xing e (性惡)’ means ‘human nature is evil’ leading us to consider that Xunzi’s concepts of human nature is incompatible with moral rules. The other is ‘social philosophical approach’. This view argues that Xunzi considers that human’s infinite desires produce social disorder that is bad. In this point of view, bad human nature are possible to turn into good one with rituals and righteousness(禮義). Which two interpretations are more valid? I agree with social philosophical approach for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Therefore, this paper will try to show how the social philosophical approach to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passes over the critique of traditional metaphysical analysis.

요약문

Ⅰ. 서론

Ⅱ. 성악설의 의미

Ⅲ. 도덕 형이상학 관점에서 보는 순자의 성악설

Ⅳ.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보는 순자의 성악설

Ⅴ. 사회 철학적 관점의 타당성 검증

Ⅵ. 인간의 생명·윤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성악설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