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방안으로 메 탄발효를 고려하여 메탄 발효과정 에서 음식물쓰레기와 생분해성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가 투입 되었을 때 실제적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분해가 잘 이루어지며 생분해성플라스탁이 미생물의 활성 이나 분해 반응에 영향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30%생분해성 플라스탁의 경우, 미생물에 의한 무게 감량에서 중온은 최 대 6%, 고온은 최대 10%밖에 분해가 되 지 않았다. 신장율은 중옹이 약 150%, 고온이 약 120%까지 감소하였으며, 인장강도에서 는 중옹이 약 180kgf!cm2, 고옹이 200kgf/cm2 정도 감소하였다. 대체로 온도가 높고 미생물의 활성이 좋은 고온혐기성 소화에서 중옹보다 많은 무게감소를 보였으며 HDPE계열보다는 LLD PE계열의 플라스틱 이 무게감량과는 상관없이 신장율과 인정-강도에서 많은 감소를 보였다. 100%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 미생물에 의한 무게감량에서 중온은 최대 8%, 고온은 최대 33%정도 감소가 있었다. 신장율은 중옹이 약 230%, 고온이 약440%까지 감소하였으며, 인장강도에서는 중온이 약 380kgf/cm2, 고온이 400kgf/cm' 정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30%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음식물쓰레기전용봉투로의 사용이 부적합하며 100%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로 사용이 가능하나 제품이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This srudy is to esrimare rhar food wasre bags wirh biodegradable plastic the really decomposed by microorganism in composring wirh food wasre and to examinare how biodegradable plastic affects composring. 6 kinds of 30%, 4 kinds of 100% and 2 kinds of none biodegradable plasrics were used in d1is srudy. 1n 30% biodegradable plasrics rhe highest Degradarion rare is 6% in meso-condirion and 10% in thermal-condirion. Srain ar auto break decreased to 150% in meso-condirion and 120% in thermal-condirion. 5tress at max load were also reduced to 180kgf/cm' in mesocondirion and 200kgf/cm' in rhermaJ-condirion . Usually, LLDPE decreased larger rhan HDPE in physical characrerisrics but HDPE is higher in degradarion rare. 1n srain at auto break and srress ar max load 100% biodegradable plasriα declined to 230% and to 380kgf/cm' in meso-condirion and to 440% and to 400/cm' in rhermal-condirion respecrively. 100% biodegradable plasrics showed higher biodegradarion and decomposirion rhen 30%. They appεared clearly through 5EM observarion. As a resulr, ir was not appropriate to use 30% biodegradable plasrics as food waste bag because they were not decomposed perfectly. It is possible to use 100% biodegradable plasriα as ir but cost is too high. 50 developmem of rechnique is needed.
목차
1. 서론
2. 실험재료 및 방법
3. 혐기성소화에 의한 분해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