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4122.jpg
KCI등재 학술저널

압존법 관련 규정과 언어 현실

Linguistic Norms about Korean Apjonbeopand Linguistic Reality

  • 1,183

우리말의 높임법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데 우리말 높임법의 내용 중 가장 어려운 것 중 하나가 ‘압존법’이다. 왜냐하면 ‘압존법’은 높여야 할 인물을 상황에 따라 높이지 않는 표현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표준 화법 해설’, ‘표준 언어 예절’ 등 정부 간행물들은 압존법을, 사용해서는 안 되는 표현법 내지는 적용이 임의적인 표현법으로 규정하고 있고 현행 중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압존법을 기술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 간행물의 설명과 교과서의 기술 태도는 언중의 언어 의식 및 언어 생활 등 언어 현실과 일정 부분 상치된다. 즉 가정, 학교, 군대 및 일부 기업 환경에서는 압존법 사용을 당연시하고 있고 이런 이유 때문에 이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불이익을 당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압존법과 관련된 비현실적인 규정들은 반드시 수정되어야 하며 교과서는 압존법의 실제적인 내용을 상세히 기술해야 할 것이다.

The structure of Korean honorific category is very complicat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use Korean honorific expressions properly. One of the most difficult things is how to use Apjonbeop, which is a method of expression not to respect someone in some special situations, whom we should normally respect. The publications provided by the Korean government imply that Apjonbeop is voluntary in some situations and wrong in other situations. The current Korean grammar textbooks do not describe Apjonbeop. However, the norms in the government publications conflict with linguistic reality. Hence, the people who cannot properly use Apjonbeop may be confronted with disadvantages. In conclusion, unrealistic linguistic norms should be revised and the Korean grammar textbooks should describe the details of this method of expression.

국문요약

1. 들어가기

2. 교과서와 정부 간행물의 내용

3. 언어 현실

4.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