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청년과 노인집단에서 어휘 특성에 따른 설단 현상 발생 및 해결 양상의 차이

Differences in Tip-of-the-Tongue Phenomenon and Resolving Patterns according to Vocabulary Characteristics between Young and Elderly Adults

  • 821
124175.jpg

본 연구에서는 이름대기 처리 과정 중 음운 정보 산출 과정의 손상에 초점을 맞춰, 정상적 노화에 따른 설단 현상 발생 및 해결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청년(만 20세-29세) 20명과 노인(만 70세 이상) 20명을 대상으로 단어 범주와 빈도를 고려한 이름대기 과제를 통해 설단 현상을 유도하였다. 결과: 청년집단보다 노인집단에서 더 많은 설단 현상이 관찰되었다. 두 연령 집단 모두 일반명사보다 고유명사에서, 일반명사 중 고빈도 단어보다 저빈도 단어에서 더 많은 설단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이러한 수행의 차이는 노인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두 집단의 단어 범주 및 일반명사 중 빈도에 따라 발생한 설단 현상은 순차적인 단서 제공에 의해 모두 해결되었으나, 청년집단보다 노인집단에서 설단 해결을 위한 더 많은 인출 단서가 필요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노화가 음운 정보 산출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설단 현상의 발생과 해결 양상을 통해 경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그와 관련된 어휘 특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ip-of-the-Tongue (TOT) phenomenon incidence and re¬solving pattern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normal aging focusing on breakdown of phonological information production in naming processing. Methods: TOT phenomenon was induced through naming tasks according to word category and frequency, targeting 20 young people (age 20 to 29) and 20 elderly people (age 70 and over). Results: TOT phe¬nomenon incidence occurred more often in the elderly than in the youth. In both groups, it occurred more often in proper nouns than in common nouns, and it occurred more of¬ten in low frequency words than in high frequency words among common nouns, where the elderly showed a greater difference. Although the TOT phenomenon occurred accord¬ing to word category and frequency of common nouns in both the youth and elderly more retrieval cues were needed to resolve the TOT phenomenon in the elderly group.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aging affects the process of phonological information production and the incidence and resolution aspects of TOT phenomenon, and it provides basic data on vocabulary characteristics which may affect the process.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