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4119.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어 교육의 표준어 편향성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일고

Consideration on bias of standard language in Chinese education from the sociolinguistic perspective

  • 138

본고는 한국의 중국어 교육에서 보이는 표준어 편향성에 대해 고찰하고 편향성을 넘어선 다양성에 기반하여 한국의 중국어 교육이 실천되어야 함을 주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법률과 기타 자료를 통해 중국 표준어의 법적 지위와 기능 및 보급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의 표준어를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해야할지 정(正)적인 면과 부(負)적인 면 양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끝으로 표준어에 대한 편향된 시각에서 벗어나 언어와 문화를 대하는 다양한 시각과 태도를 견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bias of standard on Chinese education and suggest Chinese education based on the variety of views. Standard Chinese Putonghua established on the base of Hanyu has the legal status, so it has dominant position in China and is widely used nowadays. In this sense, Chinese learners can go anywhere they want because every language school affiliated with university teaches by standard Chinese even if it is located in dialect area. However, we have to pay attention when teach and learn Chinese since Putonghua is established on the base of Hanyu, but there are much more another languages in China. If we only study Putonghua then we may learn the language, culture, ideology of Han only in spite of ourselves, so we need to broaden our views and be interested in another languages and cultures.

국문요약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