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비상재난통신을 위한 디지털 TRS 시스템의 전달망 설계

Design of Transport Network on the Digital TRS System for the Emergency and Disaster Communication

  • 11
124368.jpg

현재 디지털 TRS는 2.5세대 스타-트리 토폴로지 기반에서 음성중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광대역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패킷망 기반의 메쉬 토폴로지를 설계하고 우선순위 기반 동적 경로설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우리나라 실정에는 홉수 우선순위기반이 거리 우선순위기 반보다 합리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백본 및 엑세스 망관리센터간의 대역폭을 분석한 뒤 장애와 병목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여유용량을 포함하여 트렁크 용량을 산출 하였다.

Currently digital TRS is providing the voice-oriented service based on stat-tree topology of 2.5G. As result of that, it has a limitation to accept the wide band multimedia services. Therefore, this paper designed the mesh topology based on packet network and proposed the algorism of dynamic path establishment based on priority. In korea case, we confirmed that hop numbers priority base is more resonable than distance priority base. And counted the trunk traffic including redundancy traffic to prevent the bottlenect situation and trouble. Also analysed the bandwidth between network management centers of backbone and access.

Ⅰ. 서 론

Ⅱ. 디지틀 TRS시스템 표준화

Ⅲ. 망관리센터 설계

Ⅳ. 메쉬 토폴로지 및 경로 설계

V. 트렁크 용량 산정

Vl. 결 론

참고 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