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4395.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직 내부의 부정에 대한 구성원의 대결 및 침묵 의도의 예측: Kohlberg의 도덕발달 6단계가 중요한가?

Predicting Employees’ Intent to Confront and Stay Silent about Wrongdoing: Are Kohlberg’s Six Stages of Moral Development Significant?

  • 103

이 연구에서는 구성원이 조직 내부에서 부정을 보았을 때 이에 맞설 것인가 침묵할 것인가의 의도 예측 에, Kohlberg 도덕발달 이론에서 개인의 도덕 발달의 수준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동안 부정에 대한 구성원의 반응이라는 점에서의 대결 및 침묵 의도와 개인의 도덕발달 수준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첫째, Kohlberg의 도덕발달 6 단계에 의한 구성원의 도덕발달 수준이 내 부에서 부정을 목격했을 때 이에 맞설 것인가 침묵할 것인가의 의도를 예측하는 유효한 변수인가? 그런 경 우, 도덕 발달 각 단계는 이러한 의도를 얼마나 설명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를 검증하고자 설문지를 개발, 교육기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290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분석 한 결과, 첫째 구성원 개인의 도덕발달 수준은 대체로 중요한 예측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ohlberg 이론에서 개인의 도덕발달 수준을 나타내는 P 값은 부정에 맞서려는 의도 예측에는 유의하였으나 기대했던 것과는 반대로 영향은 부정적이었다. 또 침묵 예측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반응 의도에 대한 개인 도덕발달 수준의 영향은 대결 및 침묵 의도 모두를 포함하여, Kohlberg 도덕발달 이론의 6단계 마다 달랐다. 즉 4, 6단계는 대결에 유의한 예측 변수였으나, 침묵 의도에 대하여는 3, 6 단계가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함축적 의미와 공직윤리 및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research into if employees’ level of moral reasoning assessed by Kohlberg’s moral theor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their intent to confront and stay silent about wrongdoing in the organization.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moral development and their intent of confrontation and silence as a response to wrongdoings. We attempt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Is employees’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assessed by Kohlberg’s six stages of moral development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intent to confront and stay silent about wrongdoing? If so, to what extent does each of the stages predict those intents? To test hypotheses, we used 290 usable returned responses from public employees in education agencies nationwide in South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mployees’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was hardly a significant predictor. Second, the P-score was a significant but negative predictor of confrontation while it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silence. Third, the predictors of employees’ responses(either confrontation or silenc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ges of Kohlberg’stheory of moral development. Stage 4 and 6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employee confrontation while as for silence, Stage 3 and 6 were significant. This paper provides som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ethics officers and researchers.

ABSTRACT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METHOD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