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과 신학
Philosophy and Theology of St. Thomas Aquinas
- 신학과사상학회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 가톨릭신학과사상 제61호
- 2008.06
- 9 - 40 (32 pages)
신학-철학의 관계 문제는 신앙-이성의 관계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엄밀하게 구별되어야 하는 별개의 문제이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학문 체계 내에서 학문의 구별 및 관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학의 구별에 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입장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에게서 신학과 철학의 관계가 어떻게 정리될 수 있는지를 점검하고자 한다. 성 토마스의 일반적인 학문 분류 원칙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학의 구별은 대상의 구별에 의한다는 것과, 이때의 대상이란 질료적 대상이 아니라 형상적 대상과 같은 것, 즉 학적 대상(subjectum) 이라는 그의 독특한 주장이 그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성 토마스는 신을 다루는 학으로서의 신학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신성한 가르침이 그 하나이고, 형이상학 혹은 자연신학이 다른 하나이다. 이 두 학은 신을 다룬다는 점에서 즉 신을 질료적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지만, 각기 학적 대상을 달리하는 구별되는 학이다. 전자는 신을 학적 대상으로 다루되 존재 세계는 신의 피조물이라는 관점에서 다루며, 후자는 존재 혹은 공통 존재를 학적 대상으로 다루되, 신은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그 학적 대상인 존재의 원리와 원인의 자격으로서만 다루어진다. 결국 그에게 신학과 철학의 관계 문제는 신성한 가르침에 속하는 신학과 철학의 부분인 신학 사이의 구별로 연결된다. 이 두 학은 각기 고유한 영역과 독자성을 지닌다. 하지만 진리의 관점에서 신성한 가르침 혹은 계시신학이 철학의 영역에 속하는 자연신학의 결론에 대한 판단자의 역할을 하며, 철학은 독자성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신학을 섬기고 봉사해야 하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해야 하는 그런 상보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The relat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should not be mixed up, though closely connected, with that between faith and reason. For it is basically a matter of making distinctions among the sciences. In this article, St. Thomas's view on the distinction of the sciences is to be examined so that his view on the relat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could be effectively settled down on that ground. St. Thomas's view on the problem of the distinction of sciences could be summed up as the following twofold claims. Firstly, the distinction of the sciences follows that of the subject of the science. Secondly, the subject of the science here should be taken to mean the object of the science considered formally rather than materially, as though a formal, not material, object of the operative potencies. Now, St. Thomas distinguishes two types of divine sciences or theologies. One is Sacred doctrine, the other is natural theology or metaphysics. They are agreed in that they both deal with God, but they are differ in that they treat God differently. In Sacred doctrine, the formal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science is God Himself, and anything other than God is treated primarily as His creature, not as of his own. In metaphysics, on the other hand, the formal object is being or common being. God is treated not in itself but only, the only one as a cause of being which is the subject of metaphysics. From the viewpoint of St. Thomas, the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is nothing other than this distinction and relation between two divine sciences or theologies. Each science enjoys autonomy. Theology should not interfere in philosophy. Nevertheless the conclusion of the metaphysics or the natural theology, according to St. Thomas, they ought not to be discord with the outlook of the sacred doctrine or the revealed theology, because there could not be double truth.
1. 들어가는 말
2. 『신학대전』에 나타나는 구별의 진술들
3. 학의 구별에서 본 철학과 신학 - 『보에티우스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주석』에 나타난 학의 구별
4. 학에서 신이 다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
5. 계시신학과 자연신학
6. 마치며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