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어 교육에서 ‘-겠-’, 과 ‘-(으)ㄹ 것이다’의 의미와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modal expressions, ‘-겠-’, ‘-(으)ㄹ것이다’ in teaching Korean

  • 3,722
124655.jpg

‘-겠-’과 ‘-(으)ㄹ 것이다’는 화자의 주관적 태도를 나타내는 양태 표현이다. ‘ -겠-’과‘-(으)ㄹ 것이다’에는 [의지], [추측], [예정], [의도], [가능성], [미래] 등의 의미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들 표현은 사용 빈도는 높으면서 그 의미 차이가 모호해 여전히 의미 차이를 밝히려는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언어 기능이 아직 능숙하지 않은 초·중급 단계의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에서 상대방의 심리적 표현들을 이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더불어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태도나 관점을 이 두 표현을 이용해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 역시 상당히 어려울 것이다. 이 글은[의지], [추측]의 양태인‘ -겠-’과‘-(으)ㄹ 것이다’에 대한 기존의 선행 연구와‘ -겠-’과‘-(으)ㄹ 것이다’가 가지는 각각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며 또한 ‘-겠-’이 가지는 통사적 제약도 살펴보았다. ‘-겠-’과‘-(으)ㄹ 것이다’가 상태 동사와 결합하느냐 동작 동사와 결합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이런 상황으로 보건대 이 두 양태 표현의 의미 변별을 학습자에게 교수하는데 있어 교수·학습자 모두 고충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겠-’과‘-(으)ㄹ 것이다’의 문장의 의미 파악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주관적인 판단이나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양태 표현을 배우는데 부담을 덜고 두려움을 해소하여 의사소통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겠-’, ‘-(으)ㄹ 것이다’express speaker's subjective manner. ‘-겠-’connotes conjecture, intention, predetermination, future, possibility, probability, politeness, while ‘-(으)ㄹ 것이다’connotes conjecture and intention. These two expressions are of high frequency but studies on differentiating the meaning of two have not reached a conclusion due to the ambiguity of the two expressions. It is not difficult to assume that beginning·intermediate leve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emotional expressions in conversation. It is certain to be confronted with a problem when expressing their own manner or view, for the learners. This paper studied preceding research on ‘-겠-’, ‘-(으)ㄹ것이다’, which conveys meaning of intention and conjecture, and their respective features. The syntactic restriction of ‘-겠-’ is studied as well. When ‘- 겠-’is used to express intention, the subject should be the first person. Teaching·learning the differentiation in the meaning of these two expressions in the second·third person sentence, is a dilemma. Thus in this paper methods to make learners better comprehend ‘-겠-’, ‘-(으)ㄹ 것이다’are studied.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선행연구

Ⅲ. 의미 기능

Ⅳ.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Ⅴ. 나오는 말

Abstract

참고문헌

(0)

(0)

로딩중